목차
전기경련요법(Electroconvulsive therapy, ECT)
기전
- 시냅스 후 β-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감수성을 감소시킨다는 down regulation 이론이 가장 강력한 가설
적응증
- 주된 적응증은 우울증(특히 내인성 우울, 망상이 있는 우울, melancholia가 있는 우울에서 효과적)
-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 신장/간 기능 악화로 약물치료를 견딜 수 없을 때
- 상태가 너무 심하여 빠른 임상적 호전을 요하는 경우
- 노인의 우울증에서는 TOC가 될 수 있음
- 자살의 위험성이 높을 때
- 정신병적 우울증일 때
- 음식 거부 때문에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할 때
- 이전에 ECT에 잘 반응한 병력이 있을 때
- 약물효과가 없는 조증이나 긴장증이 겹친 조현병
시행 방법
- 시행 전 평가: 혈액검사, 소변검사, 간기능, 심전도검사, 뇌단층촬영
- 처방 약물 조정: TCA 중단, 진정수면제 중단
- 70~130V의 전류를 0.1~0.5초간 통전, 경련은 30~60초 정도 나타나게 함
- 주 2~3회가 적당, 5~10회 시행하면 효과 나타남
부작용
- 후두연축과 연장된 무호흡, 중첩성 뇌전증
- 척추골절
기타 생물학적 치료
경두개 자기 자극술(TMS)
- 대뇌피질의 세포를 자극하는 비침습적 치료기법
- 두뇌피질에 강한 자기장을 아주짧게 생성시키고, 이 자기장의 파동이 신경세포 자극하여 전기적 신경신호 발생하도록 유도
- 주적응증은 우울증, 조현병, 강박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의 불안장애 환자 등에서도 효과
- 4~6주 치료에 약물치료나 ECT에 버금가는 항우울효과
광치료
- 기전 : circardian rhythm을 phase 전진시키거나, 멜라토닌 대사에 영향
- 방법 : 2,500룩스의 광선을 매일 새벽 전 2~3시간, 황혼 뒤 2~3시간 쪼이면 2~4일 후부터 효과
- 적응증: 우울증, 특히 계절성 정동장애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35장(생물학적 치료) 856-86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