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DSM-5와 ICD-10 모두에서 조현병의 핵심증상으로 5개의 증상들을 제시함.
- 망상, ② 환각, ③ 혼란스러운 언어(사고장애), ④ 혼란스러운 혹은 긴장성 행동, ⑤ 음성증상
전구증상
- 조현성(shizoid) 또는 조현형(schizotypal) 성격장애: 조용하고, 수동적이며, 내성적
- 괴상한 생각과 행동과 언행, 비정상적 감정 반응 및 괴이한 착각
- 사회적 활동의 기능이 위축됨
양성 증상 vs. 음성증상
양성 증상
- 정신기능의 왜곡 또는 과도한 정신기능
- 망상, 환각, 지리멸렬한 사고장애, 괴이하고 혼란된 행동 등 생성적 증상
음성 증상
-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정신기능들의 소실, 결핍 또는 감소
- 무언증, 정동 둔마, 무쾌감증, 무의욕증, 운동지체, 사고차단 등
임상양상 분류
사고의 장애 → 크게 3가지
- 사고과정: 연상의 이완(loosening of association), 융합(fusion), 탈선(derailment), 사고의 단절(blocking) → 작화증, 우원증, 사고이탈, 보속증, 사고억제, 사고압력, 사고비약 등이 나타남
- 사고형태: 사고가 비논리적이고 추상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우며 구체적인 경우가 많아 개념형성에 어려움 → ex. '성모 마리아는 처녀이다. 나는 처녀이다. 그러므로 나는 성모마리아다'
- 사고내용: 망상(ex. 사고주입, 사고전파, 사고위축, 조종망상, 관계망상, 피해망상 등)
지각 장애
- 환각: 환청이 흔함(cf. Schneider의 1급 증상 중 가청사고), 환청보다는 드물지만 환시도 있음
감정의 장애
- 정동반응의 감소, 정동의 부적절성, 정동의 완고함 → 다른 사람들과 정서적 유대관계 맺기 어려움
- 양가감정 → 변덕스럽고 충동적인 행동의 장애로 이어짐
행동의 장애
- 불안을 야기하는 현실 회피, 유아기로 퇴행 → 거절증
- 피암시성(suggestibility; 남의 말 잘 들음) 병적 증가 → 반향언어, 반향행동
- 상동행동, 강경증
- 긴장성 흥분, 긴장성 혼수
- 충동조절 장애 → 폭력, 자살
의식 및 인지기능 장애
- 의식: 보통 의식 수준의 손상은 없고, 지남력 유지. 급성기에는 간혹 환각이나 망상으로 지남력 상실
- 지능: 같은 계층의 또래에 비해 지능이 낮은 경향
- 기억력: 장애를 보이는 경우는 적으나 일부 환자는 기억상실 나타나기도 함
- 병식: 대개 없음
조현병의 임상양상은 서두에 소개한 5가지 핵심증상, 즉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음성증상을 기본 골격으로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총론에서 살펴본 증상론 기술방식에 따라 '사고, 지각, 감정, 행동, 의식' 수준에서 임상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구분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0장(조현병), 263-26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