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진단 기준(DSM-5 요약)
아형분류(DSM-5에서는 긴장형 제외하고 아형분류 폐기하였으나 ICD-10에서는 유지)
편집성 조현병
파과형(혼란형, 와해형) 조현병
긴장형 조현병
미분화형 조현병
조현병 후 우울증
잔류형 조현병
감별진단
기간에 따른 감별진단
이차적 정신병적 장애
양극성 장애 및 우울장애
성격장애
진단 기준(DSM-5 요약)
|
아형분류(DSM-5에서는 긴장형 제외하고 아형분류 폐기하였으나 ICD-10에서는 유지)
편집성 조현병
- 개념: 청각적 환각 및 지각장애를 동반하는 편집증형 망상이 지배적
- 증상: 관계망상, 피해망상, 과대망상이 많고, 체계화된 망상
- 역학: 다른 유형들보다 늦게, 30대 전후에 발병, 교육 많이 받은 층에서 호발
- 예후: 다른 아형에 비해 대체로 예후 좋음
파과형(혼란형, 와해형) 조현병
- 개념: 사고와 감정의 혼란, 인격의 황폐화 퇴행이 가장 심함
- 증상: 원시적이고 충동적인 행동, 정동변화, 연상이완, 지리멸렬한 사고
- 체계적이지 않은 망상
- 역학: 대개 어린 나이, 즉 25세 이전, 특히 사춘기 전후에 서서히 발병
- 예후: 편집성에 비해 정신병리 가족력 높고 병전 적응과 예후 나쁨
긴장형 조현병
- 개념: 정신적 외상 후 급성으로 발병, 극심한 정신운동장애가 특징
- 증상: 거절증, 자동복종증, 반향언어, 반향행동, 상동증 등
- 역학: 15~25세에 호발
미분화형 조현병
- 조현병의 일반적 진단기준에는 합당하나 어느 아형에도 맞지 않음
조현병 후 우울증
- 조현병 앓고 난 후 우울성 에피소드
잔류형 조현병
- 정신병적 증상이 왕성하게 발달하였다가 만성기에는 음성증상
감별진단
기간에 따른 감별진단
- 조현병: 6개월 이상
- 조현형 장애(schizophreniform disorder): 1개월~6개월
- 단기 정신병적 장애(brief psychotic disorder): 1일~1개월
이차적 정신병적 장애
- 암페타민, 마리화나, 환각제, 스테로이드 등의 각종 약물
- 측두엽 뇌전증, 뇌종양, 뇌졸중, 뇌외상 등
양극성 장애 및 우울장애
- 질병 초기에 감별 어려울 수 있음
성격장애
- 조현성, 조현형, 경계형 성격장애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0장(조현병), 269p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0장(조현병) 270p(감별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