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우울 장애


목차

개요

개념

  • 우울장애 범주 내에서 가장 고전적인 질환, DSM-5에서는 일회성 및 재발성 삽화들 모두를 포함

 

역학

  • 평생유병률 남성 5~12%, 여성 10~25%
    Cf. 여성이 많은 이유: 호르몬 차이, 출산 경험, 정신사회적 스트레스, 학습된 무력감 등
  • 1개월 유병률 6%
  • 전 연령층에서 발생

 

원인

유전

  • 1차 가족 내 → 일반인보다 2~10배
  • 일란성 쌍둥이 일치율 약 50%, 이란성 10~25%

 

해부학

  • 피질하 구조(기저핵, 시상, periventricular regions)에서 비정상적 hyperintensity, 해마의 위축 등이 자주 발견

 

신경화학

  • norepinephrine과 serotonin이 우울증에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

 

임상양상

일반적 양상

  • 1회성 삽화일 수도 있고, 재발되기도 함
  • 1회의 삽화는 대개 3~6개월간 지속, 재발형은 두 삽화 사이에 증상 없는 기간이 2개월 이상
  • 증상: 우울한 기분,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무가치감이나 죄의식, 사고, 집중력, 의사결정의 장애, 반복적인 죽음에 대한 생각, 자살사고, 식욕감소, 불면증, irritability, 에너지 감소, 피곤 등

 

경과 및 예후

  • 양극성 장애에 비해 비교적 예후가 좋음
  • 치료하지 않으면 주요우울장애의 삽화기간은 약 6~13개월, 치료하면 3개월 정도로 짧아짐
  • 재발빈도는 대개 20년에 5~6회
  • 좋은 예후: 발병 늦을수록, 가족의 지지, 사춘기 시절 친구가 있었을 때, 인격장애 없을 때, 증상 경할 떄, 정신병적 양상 없을 때, 입원기간 짧을 때

 

 

 

진단

진단기준

  • 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DSM-5 요약
  1. 동일한 2주일 기간 동안 다음 중 5개 이상 ( (1)과 (2) 중 하나 이상은 반드시 포함)
    • 거의 하루 종일, 거의 매일 우울한 기분
    • 거의 하루종일 무쾌감증
    • 체중감소 or 체중증가
    • 거의 매일 불면 또는 과수면
    • 거의 매일 정신운동 초조 또는 지연
    • 거의 매일 피로와 에너지 상실
    • 거의 매일 부적절한 죄책감
    • 거의 매일 사고나 집중 능력의 저하
    • 자살 사고, 자살 시도, 자살 계획
  2. 사회적, 직업적 기능 장애
  3. 물질이나 다른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님
    • 1) -3) 기준은 주요우울 삽화를 나타냄
    • 심각한 상실(예: 애도, 재정적 곤란, 자연재해로 인한 상실, 심각한 의학적 질병이나 장애)에 대한 반응은 1) 진단기준에 나타난 우울 삽화와 비슷할 수 있는 과도한 슬픔, 상실에 대한 반추, 불면, 식욕 저하 둥의 중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주요 우울 삽화의 존재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4. 정신분열정동장애, 조현병, 조현형 장애, 망상장애 배제
  5. 조증이나 경조증 삽화 없어야 함

 

  • 특정형: 급속 순환형 동반(rapid cycling)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양극성 장애에서의 특정형과 같다.
    1. 불안한 고통동반
    2. 혼합양상동반
    3. 멜랑콜리아 양상 동반
    4. 비전형적 앙상동반
    5. 정신병적 양상동반: 기분-일치성 정신병적 양상 동반 / 기분-불일치성 정신병적 앙상 동반
    6. 긴장증 동반
    7. 주산기 발병 동반
    8. 계절성 양상 동반

 

 

감별진단

  1. 가성 치매: 우울증에 의한 지적 기능상실 상태 →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true dematia와 감별해야 함
  2. 애도(bereavement)와의 감별: 사랑하는 이의 죽음이나 기타 상실에 대한 정상적 반응 → 병적 애도반응
    1. 심한 죄책감
    2. 자신이 사망자와 함께 죽어야 한다고 느낌
    3. 무가치함에 대한 심한 집착
    4. 현저한 정신운동지연
    5. 지속되고 현저한 기능수행장애
    6. 죽은 사람의 목소리를 듣는 환각적 경험

 

 

 

치료

일반적 원칙

  • 외래통원치료 받는 환자는 계획된 스케줄에 따라 자주 내원해야 함
  • 입원 적응증: 증세가 심한 환자, 자살위험 있는 환자, 위기개입이 필요할 때, 진단절차 복잡할 때, 위험성이 높은 치료방법 사용할 때, 내과적 병발 질환이 있는 환자 등
  • 충분히 회복하기 전까지 너무 빨리 일상생활에서 책임을 맡기지 않음

 

약물치료

  • TOC: SSRI(fluoxetine, sertraline, paroxetine, escitalopram 등)
  • 성기능 부작용에는 약물을 바꾸거나 보조치료로 bupropion이나 buspirone 추가
  • 필요시 항불안제, 수면제
  • 유지치료: 최소 5개월 이상 해야 재발 예방

 

정신사회적 치료

  1. 정신치료
  2. 정신분석적 정신치료: 우울증과 관련된 무의식적 갈등과 장애를 지속시키는 동기에 대한 치료
  3. 인지치료: 자신과 세계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버리고,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사고방식 갖도록 연습
  4. 행동치료: 학습이론에 기초한 치료기법
  5. 대인관계치료, 가족치료, 집단치료 등도 고려

 

기타 생물학적 치료

  1. 전기경련요법: 심한 우울증이나 정신병적 양상 있는 경우 TCA보다 치료효과 좋음
  2. 경두개 자기 자극술: 적절한 항우울제의 사용에도 치료효과 만족스럽지 못한 우울증 치료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3장(우울장애)
  • 간편 정신장애진단통계편람 DSM-IV-TR 미국정신의학회 저 강진령 편역, p228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