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개념
역학
원인
생물학적 요인
역동적 이론
인지행동이론
임상양상 및 진단
임상양상
공황발작(panic attack)
예기불안과 회피행동
진단(DSM-5 요약)
경과 및 예후
치료
약물치료
정신사회적치료
개요
개념
- 공황장애는 이유 없이 삽화적으로 갑자기 불안이 극도로 심해지며 숨이 막히고 심장이 두근대고 죽을 것만 같은 극단적인 공포증세, 즉 공황발작을 보이는 장애
- DSM-5에서는 공황장애(panic disorder), ICD-10에서는 삽화성 발작적 불안(episodic paroxysmal anxiety)
역학
- 평생유병률 1.5~5%, 우리나라 2011년 역학연구에서는 평생유병률 0.3%, 1년유병률 0.2%
- 여>남, 전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음(평균 발병연령 25세)
원인
생물학적 요인
- 유전: 1차가족 4~8배 높음
- 해부학: 뇌간의 locus ceruleus, raphe nucleus, 변연계, 전두엽, 특히 편도와 그 관련 신경계가 공황장애와 관련된다고 함
- 신경화학: serotonin계 불균형이 원인이라는 가설
역동적 이론
- 불안을 야기하는 충동에 대한 방어기제가 성공하지 못하였기 때문. 관련 방어기제는 억압, 대치, 회피, 상징화
인지행동이론
- 공황발작 과정에서 사고내용의 발전에만 주목하지 않고 환자가 느끼는 육체적인 지각에도 관심
임상양상 및 진단
임상양상
공황발작(panic attack)
- 비교적 순식간에(약 10분간에 걸쳐) 악화되는 형태로 시작, 대개 10~20분 지속되다가 빠르게 또는 서서히 소실, 1시간 이상은 드묾
- 불안상태가 대개 주 2회
- 증상: 강한 공포, 곧 죽지 않을까 하는 불안, 호흡곤란, 심계항진, 흉부통증, 질식감, 현기증, 비현실감, 떨림, 돌발적인 열감
예기불안과 회피행동
- 예기불안: 발작이 없는 중간시기에 공황발작이 또 생기지 않을까 하는 불안
- 회피행동: 발작이 일어났던 장소, 상황과 유사한 장소나 상황을 피하려는 행동
진단(DSM-5 요약)
- 반복적이고 예측되지 않는 공황발작. 공황발작은 다음 중 4개 이상
- 심계항진
- 땀을 흘림
- 몸의 떨림 또는 흔들거림
- 숨이 막히는 느낌
- 질식감
- 흉통
- 오심
- 현기증
- 지각이상
- 비현실감 또는 이인증
- 통제력을 잃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
- 죽을 것 같은 두려움
- 다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1개월 이상
- 예기불안: 추가적 공황발작 또는 그 결과에 대한 지속적 걱정과 두려움
- 회피행동: 발작과 관련된 행동에서의 의미 있는 비적응적 변화
- 물질 또는 다른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님
- 다른 정신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
경과 및 예후
- 대개 청년기에 나타나고 만성 경과 양상
- 환자 중 30~40%는 결국 회복되나 50%는 일상 생활 지장 적은 경도증상, 10~20%는 유의한 증상을 가진 채 만성화
- 자살, 약물 남용 우려 있음
치료
- 현재 가장 효과적인 치료로 알려진 것은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이다.
약물치료
- 급성 발작 → benzodiazepine계 항불안제
- 주된 치료약물: TCA(imipramine, clomipramine 등), MAOI(phenelzine), SSRI(재발 방지 위한 유지치료)(fluoxetine, sertraline, paroxetine 등), benzodiazepine계 약물(alprazolam, clonazepam, lorazepam 등)
공황 장애 치료에서 가장 권장되는 약물은 SSRI, Venlafaxine입니다.
Benzodiazepine계 항불안제는 급성발작, 예기불안이 있을 때 씁니다.
- 대개 투여 2~4주 만에 효과 나타남, 회복 후 8~12개월 유지치료하고 서서히 감량
정신사회적치료
- 지지적 치료, 가족치료, 행동치료, 인지치료
- 인지치료: 사소한 신체변화를 공황과 연결시키지 않도록 하며 공황발작에 대한 잘못된 관념이나 지식을 수정하여 적응적인 사고로 대치해주는 것
- 행동치료: 이완훈련, 호흡훈련, 체계적 탈감작(상호억제), 노출치료(신체감각노출치료)
- 실제노출(in vivo exposure) 기법: 환자가 실제 덜 무서워하는 자극에서부터 보다 무서워하는 자극으로 점차 노출의 강도를 증가시킴
- 신체검각노출치료: 치료실 내에서 다양한 신체감각을 불러일으키는 운동을 시킴으로써 환자들이 두려워하는 공황발작 증상들에 둔감해지도록 한다.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2장(불안장애) 346-35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