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개념
- 특정공포증(specific phobia)는 특정한 대상이나 행동, 상황에 처하였을 때 비현실적인 두려움과 불안증세가 생겨서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그 대상이나 상황을 피하는 장애
Cf. 정상적인 공포증은 일상생활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음
역학
- 흔하지만 치료를 받으러 오지 않거나 잘못된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음
- 우리나라 2011년 역학조사 평생유병률 5.2%, 1년유병률 4.8%
원인
생물학적 원인
- 별로 연구되지 않음, 유전적 요인 제시되긴하나, 쌍둥이 연구 등이 없어 확정적이지 않음
- 유전체질이론 → 공포증의 소인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이 만성적 환경적 스트레스가 잦을 때 공포증 발병
역동적 이론
- Freud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거세공포, 근친상간에 대한 불안에 따르는 갈등이 불안을 초래
- 이 불안이 방어기제의 하나인 억압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대치(displacement)'에 의해 환자가 피할 수 있는 다른 외부 대상에게 공포가 옮겨짐
행동이론
- 공포를 일으키는 자극과 무해한 중립적 자극을 동시에 반복적으로 가하면, 나중에는 무해한 자극에도 공포를 느낌
임상양상 및 진단
임상양상
- 동물공포가 가장 많고, 다음 고소공포, 질환공포, 외상공포, 죽음공포 순으로 많음
진단(DSM-5 요약)
- 특정 대상이나 상황의 존재 또는 예기에 의해 촉발되는 현저하고 지속적인, 과도하거나 비합리적인 공포
- 공포 대상 또는 공포 상황은 거의 항상 즉각적 공포 또는 불안을 자극함
- 능동적으로 회피하거나 심한 공포와 불안으로 견디어짐
- 공포, 불안, 회피는 지속적이며 전형적으로 6개월 이상 지속
- 일상 생활 지장
- 다른 질환으로 설명 안됨
경과 및 예후
- 잘 연구되지 않음
- 소아의 단순공포증은 대개 정상적이며 저절로 소실되기도 함
- 대개 만성적이나 중년 이후에 증상이 약화되기도 함
치료
행동치료
- 가장 많이 연구됨
- 탈감작 방법
- 상호억제
- 실제상황 노출
- 상상노출
- 홍수법
인지치료
- 상황이 실은 안전하다는 것을 인식시킴
약물치료
- 일시적인 증상완화 목적으로 benzodiazepine계 약물 사용
- 기타 약물치료로 phenelzine, β-blocker(propranolol), 항우울제 등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2장(불안장애) 353-35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