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개념
- 사회적 불안(social anxiety): 특정한 대인관계나 사회적 상황에서 남을 의식하여 불안이 생기는 것
- 수행불안(performance anxiety): 특정한 일을 수행할 때 긴장과 더불어 이를 쳐다보는 사람들을 의식하여 생기는 불안
- 사회불안장애(social anxiety disorder): 사회적 불안과 수행불안이 심해 그러한 상황을 계속 회피하고, 예기불안을 가지게 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음
역학
- 우리나라 2011년 역학조사 평생유병률 0.5%, 1년유병률 0.3%
- 대부분 20대에서 발병하고 낮은 교육수준이 위험인자
원인
- 인격발달과 관련: 자신이 과거 남들 앞에서 몹시 불안하여 고통스러웠던 사건을 기억하고 그때의 고통스러웠던 경험 때문에 사회적 상황이나 타인 앞에서는 데 공포가 생김
- 최근에는 타고난 소인과 환경의 스트레스가 합쳐져 사회불안장애가 생긴다고 봄
임상양상 및 진단
임상양상
- 공공장소나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 사람에게 관찰되는 것, 모욕적이 되는 것, 당황하게 되는 것을 두려워해서 회피반응을 보임
- Ex) 무대공포, 어떤 사람과의 접촉을 예기할 때 공포증상, 공중변소에서 소변을 볼 때 공포증상
- 대인공포증: 전형적인 사회불안장애와 다른 유형들이 있다는 보고가 나타나고 있음, 일본과 한국의, 문화적인 특징을 강조한, 대인공포증.
진단(DSM-5 요약)
- 개인이 타인의 세밀한 관찰에 노출되는 한 가지 이상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뚜렷한 공포 또는 불안
- 사회적 상황은 거의 항상 공포와 불안을 자극함.
- 회피하거나 강한 공포와 불안을 견디어짐
- 공포, 불안, 회피는 지속적이며 전형적으로 6개월 이상 지속
- 일상 생활에 지장
- 다른 질환으로 설명되지 않음
경과 및 예후
- 흔히 만성적인 경과를 보임
- 나이가 어리거나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좀 더 나은 치료결과를 보임
치료
일반 원칙
- 공포의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
정신사회적 치료
- 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가 흔히 시행됨
- 분석적 치료가 필요할 때는 통찰지향적 정신치료
약물치료
- SSRI가 TOC
- 무대공포에는 β-blocker(atenolol 또는 propranolol)
- 심한 사회공포증에 MAO 억제제가 효과 있다는 보고 있음 치료 받지 않으면 평생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
기본 약물 종류: SSRI(TOC), venlafaxine, Buspirone, MAOi 일시적인 증상완화: benzodiazepine 무대공포증: β-blocker (atenolol, propranolol) |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2장(불안장애) 357-360p
- Synopsis of psychiatry 603 p (Insight-Oriented psychotherapy)
- Synopsis of psychiatry 604 p (Social phobia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