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개념
-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거의 모든 것에 불안을 느끼는 경우, 즉 불안한 느낌이 과도하고 광범위하게 다양한 신체증상을 동반하여 지속되는 상태
역학
- 서구인, 선진국에 많으며, 평생유병률 5%
- 여성에서 2배 많음, 20대에 호발하며 중년기에 최고에 이르다가 나이 들면서 감소
- 우리나라 2011년 역학조사 평생유병률 1.9%, 1년유병률 1.0%
원인
생물학적 원인
- 유전적인 요인: 일차 가족 중 25%에서 이 병이 발견됨
- 일란성 쌍둥이 일치율 50%, 이란성 쌍둥이에서는 15%
정신사회적 원인
- 인지행동이론 → 환경의 부정적인 요인에 대해 선택적 주의, 정보처리과정의 왜곡, 자신의 대응능력에 대한 부정적 시각
임상양상 및 진단
임상양상
- 불안감, 운동성 긴장이 지속되는 것이 주된 양상
- 피로, 근육통, 눈꺼풀 경련, 안절부절 못하는 상태
- 자율신경계 기능항진 → 발한, 심계항진, 빈맥, 구갈, 얼굴이 화끈거림, 빈뇨, 설사, 오심, 과호흡
- 주의산만, 집중곤란, 초조감, 불면증
- 우울도 흔히 동반
진단(DSM-5 요약)
- 사건이나 활동 등에 대한 과다한 불안과 걱정이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
- 걱정을 조절하기 힘들다.
- 다음 여섯 가지 중 세 가지 이상(적어도 몇몇 증상은 지난 6개월 이상 존재)
- 안절부절
- 쉽게 피곤해짐
- 집중이 안 됨
- 쉽게 짜증 냄
- 근육 긴장
- 수면장애
- 일상 생활에 지장
- 물질이나 다른 의학적 상태 때문이 아님
경과 및 예후
- 일생에 걸쳐 나타나는 만성적 장애
- 25%는 증상이 악화되어 합병증으로 공황장애로 발전
- 주요우울장애, 약물 남용, 알코올 중독 등도 흔히 동반
치료
일반적 원칙
- 신체질환이 없음을 확인해주는 것이 중요
약물치료
- 항불안 약물인 benzodiazepine계 약물이 최선 → 2~6주간 쓰고 1~2주간에 걸쳐 서서히 감량
- 남용이나 의존 피하기 위해 benzodiazepine계 약물이 아닌 buspirone이나 TCA(imipramine 등), 항히스타민제제를 쓸 수 있음
정신사회적 치료
- 통찰지향적 정신치료: 목표는 불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닌 불안에 대한 내성(tolerance)을 높여주는 것
- 행동치료 - 이완과 생체되먹임 등
- 인지치료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2장(불안장애) 360-36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