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 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목차

개요

개념

  • 강박장애: 강박사고(obsession), 강박행동(compulsion), 집착(preoccupation)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증상군
  • 강박사고: 반복되는 침투적 사고, 충동 또는 영상과 같은 정신적 작용
  • 강박행동: 확인, 숫자세기, 회피 등과 같은 행동으로 나타남 → 반복적인 증상은 심한 고통을 일으키고 일상생활에 지장

 

역학

  • 일반인구 중 평생유병률 2~3%
  • 발병 평균 연령 20세 전후
  • 주요우울장애, 불안장애, 알코올사용장애 등 다른 정신장애와 공존하는 경우 많음
  • 20~30%의 강박장애 환자가 틱 장애 병력 있고, 뚜렛장애의 가족력 높음

 

원인 

생물학적 요인

  • 유전적 요인: 일차 가족 중 강박장애 유병률 35%
  • SSRI에 의해 강박증세 감소 → serotonin 감소 내지 조절장애가 원인일 것으로 추정

 

정신역동적 이론

  • 방어기제: 고립, 취소, 반동형성
    • 고립: 충동과 불안 같은 감정을 고립시키고, 감정 없는 사고만 의식화
    • 취소: 의식화되려는 충동과 감정은 취소에 의해 더욱 방어됨
    • 반동형성: 충동이나 감정에 반대되는, 강박장애 환자 특유의 과장적인 태도나 성향 형성

사람을 치어버리지 않았을까 걱정하여 차에서 내릴 때마다 강박적으로 범퍼를 확인하는 사람을 예로 들어봅시다. 정신역동학적 해석을 빌리자면, 이 사람은 자신의 무의식적 공격본능을 느끼지 못하도록 '고립'시키고 있습니다. 속으로는 사람을 치고 싶은데 겉으로는 사람을 치지 않았을까 노심초사하는 '반동형성'도 합니다. 죄의식으로 무의식적 욕망을 '취소'하기 위해 수시로 범퍼를 확인합니다.

  • Freud 정신-성 발달이론 → 남근기적 갈등으로 인해 항문성-가학성 시기로의 퇴행

 

 

 

임상양상 및 진단 

임상양상

강박 증상의 공통점

  1. 어떤 하나의 생각이나 충동이 지속적으로 완고하게 의식으로 침범하듯 나타남
  2. 불안이나 두려움이 동반되며 환자는 이를 막기 위한 수단을 취함
  3. 강박 사고나 행동은 개인 경험이나 자아에 대한 낯선 것 내지 외부자이다.
  4. 환자 자신은 강박 증상이 어리석고 불합리한 것으로 인식
  5. 환자는 강박증상에 저항하려 함

 

가장 흔항 증상

  1. 오염되었다고 생각하여 손을 씨는 행동
  2. 위험 또는 폭력에 관련된 병적 의심
  3. 강박행동 없는 단순한 강박사고로서 대개 성적∙공격적 행동에 대한 침범적 생각
  4. 대칭성, 만사가 대칭적이거나 세밀해야 된다고 요구하는 것

 

진단기준

  1.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이 있다.
    1. 강박사고
      • 수시로 침입되고, 부적절한 것으로 경험되고, 현저한 불안과 고통을 일으키는 반복되고 지속되는 사고, 충동 또는 영상
      • 개인은 이러한 사고, 충동 또는 영상을 무시하려고 시도하거나 다른 사고나 행동으로 중화하려 함
    2. 강박행동
      • 엄격히 지켜야할 것 같다고 느껴 반복하는 행동 또는 정신적인 활동
      • 이런한 행동은 고통을 줄이거나 두려운 사건이나 상황을 방지하는 데 있음
  2. 강박적 사고나 행동은 현저한 고통을 주고, 시간을 소모하거나(하루 1시간 이상), 일상 생활에 지장
  3. 물질이나 일반적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님
  4. 다른 정신 질환의 증상에 의해 설명되지 않음

 

경과 및 예후

  • 반 이상이 급성 발병
  • 임신, 성 문제, 가족의 사망 등과 같은 스트레스 사건이 유발인자가 되는 경우 많음
  • 치료받지 않다가 평균 5~10년 만에 병원에 옴
  • 치료 후 약 20~30% 매우 호전, 40~50% 약간 호전, 20~40% 변화 없거나 악화
  • 나쁜 예후: 강박행동 심할 때, 소아기에 발병, 강박행동 괴이, 입원해야할 정도, 우울증 동반, 망상적 믿음, 과대평가된 사고

 

 

 

치료

  1. 약물치료: SSRI -1st line, 우울증보다 고용량 필요, 장기 투약(4주) / Clomipramine – TCA 계열(세로토닌 약물에 의한 치료반응은 50~70%)
  2. 행동치료: 약물치료만큼 효과
    1. 노출치료: 강박적인 고통을 유발하는 상황에 환자를 직면시킴
    2. 반응억제(방지): 환자에게 강박행동적인 의식을 행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교육
  3. 정신사회적 치료: 지지 치료는 효과적
  4. 대상회절개술(cingulotomy), 피막절개술(capsulotomy or Subcaudate tractotomy)

 

참고

신체변형장애: 정상적인 용모를 가진 사람이 자신의 외모가 달라졌거나 추한 모습으로 변했다고 믿음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 파트에 소개

발모광: 자신의 털을 뽑으려는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

[충동조절 장애] 파트에 소개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5장(강박 및 관련 장애) 372-377p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