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목차

DSM-5에서 Trauma-and Stressor-Related Disorders로 분류된 질환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급성 스트레스장애, 적응장애 등이 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개념

  •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외상을 입으면서 심한 감정적 스트레스를 경험하였을 때 나타나는 장애, 즉 전쟁 및 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의 교통수단으로 인한 사고와 폭행, 강간, 테러 및 폭동, 때로는 홍수, 폭풍,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당시에 받은 충격에 의한 발병

 

역학

  • 일반인구 중 PTSD 유병률 8%
  • 우리나라 2011년 역학조사 평생유병률 1.6%, 1년유병률 0.6%
  • 위험인자: 이혼/별거/사별, 무직, 저소득

 

원인

  1. 생물학적 원인
    • 유전: 쌍둥이 연구 → 30~40%의 유전적 위험성이 있다고 시사
  2. 정신역동적 원인: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더 잘 발병하고 증상도 심함
  3. 위험인자: 외상의 심각도, 외상기간, 외상노출에의 근접성, 일차 외상 후 추가되는 이차 외상, 외상 관련 경제적 및 기타 손실

 

임상양상

  1. 주증상 → 재경험, 회피, 과각성, 마비감
    • 재경험(Reexperience): 사고에 대한 반복적 회상이나 악몽에 시달림
    • 회피(Avoidance): 외상을 상기시키는 것들을 지속적으로 피함
    • 과각성(Hyperarousal): 지속적으로 과민상태에 있음
    • 마비감(Emotional numbing): 상기 반응을 마비시키려 함
  2. 우울, 불안, 집중곤란, 짜증, 수면장애 등 동반
  3. 자율신경계 증상: 착각, 환각, 기억과 주의력 장애

 

진단(DSM-5 요약, 자세한 기준은 생략)

  1. 죽음, 심각한 부상, 성폭행 등에 실제로 노출되거나 위협을 받음
    1. 자신이 직접 외상적 사건을 경험
    2. 다른 사람에게 발생한 사건을 목격
    3. 자신과 가까운 가족 또는 친구에게 외상적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게 됨
    4. 외상적 사건의 혐오적인 부분에 반복적으로 또는 극단적으로 노출
  2. 외상적 사건에 관한 침입적 증상(침습증상) → 반복적 회상, 악몽, 플래시백(외상적 사건이 재발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거나 행동)
  3. 외상적 사건과 연관되는 자극을 지속적으로 회피
  4. 인지, 기분의 부정적인 변화 → 외상적 사건의 중요한 측면에 대해 기억하지 못함,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비난하도록 하는 외상적 사건의 원인 또는 결과에 대해 지속적이고 왜곡된 인지 등
  5. 사건과 관련된 각성과 반응에의 현저한 변화 → 난폭하거나 자기 파괴적인 행동, 지나친 경계, 수면 장애 등
  6. 장애(진단기준 B,C,D,E)의 기간이 1개월 이상
  7. 일상 생활에 지장
  8. 물질이나 다른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님

 

경과 및 예후

  • 사건이 발생하고 대개 1주 후부터 나타나지만, 30년이 지난 후에도 나타날 수 있음
  • 30%가 회복하며, 40%는 경한 증상, 20%는 중등도 증상, 10%는 증상이 변하지 않거나 악화
  • 좋은 예후: 급성 발병, 증상기간 짧을 때, 병전 기능 좋을 때, 사회적 지지 강할 때, 정신과적∙내과적 장애가 없을 때

 

치료

일반적 원칙

  • 외상경험에 대한 진술은 스트레스를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어 권장되지 않음
  • 증세 심한 경우 입원하여 지지적 정신치료 및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치료 시도
  • 외상 직후에는 단기간 위기개입(crisis intervention) 기법도 사용

 

약물치료

  • SSRI가 가장 효과적
  • TCA는 재경험, 과각성에는 효과적이나 마비감에는 제한적
  • 용량은 우울증 치료 때와 같고, 치료기간은 최소 8주, 효과 없으면 최소 1년 유지치료

 

정신사회적 치료

  1. 인지행동치료: 가장 권장되는 정신사회적 치료
    • structured trauma-focused CBT(cognitive-behavioral therapy) + stress inoculation training 
    • 목표: 외상을 extinction하도록 감정처리를 하고, 회피행동을 줄이고, 부정적 감정반응을 감소시키는 것
    • 방법
      1. 스트레스 관리(stress management): 스트레스 대응에 대한 인지치료, 호흡법, 이완 기술 등
      2. 인지처리치료(cognitive processing therapy, CPT): 외상 경험에 대해 글을 쓰게 한다. 
      3. 노출치료: 상상기법(imaginational technique), 실제 노출(in vivo exposure)
      4. 안구운동 탈감작(민감소실) 및 재처리(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괴로운 기억(장면)을 회상하는 동안 양 눈을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다. 여러 가지 양측 감각 정보를 받는 것(bilateral sensory input)이 핵심!
  2. 기타 정신사회적 치료: 가족치료, 대인관계치료, 역동정신치료

 

 

 

급성 스트레스장애

PTSD와 거의 비슷한 질환으로 1개월 이내면 급성 스트레스 장애, 1개월 이상이면 PTSD로 구분해두시면 됩니다.

 

개념

  • 외상사건 후 4주 이내에 나타나고 2일에서 4주 사이에 회복함

 

진단(DSM-5 요약)

  • 외상에 노출되었고, 침습증상, 부정적 기분, 해리증상, 회피증상, 각성증상 등이 나타남
  • 장애의 기간이 외상 노출 후 3일에서 1달 이내

 

경과 및 예후

  • 외상사건 3일까지는 진단해서는 안 되며, 1개월 이상 지속되면 PTSD로 진단해야 함
  • PTSD로 가는 사람들의 약 반수에서 이전에 acute stress disorder를 겪음

 

치료

  • 외상직후 단기간 위기개입: 제반응, 외상경험 재구성 → 가능한 빨리 이전생활로 복귀하도록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6장(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388-398p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