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인지장애


목차

신경인지장애(neurocognitive disorder)란?

  • 뇌조직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 손상이나 기능장애에 기인하는 정신장애
  • 크게 섬망과 신경 인지장애 (치매)를 포함한다.

신경인지장애

ICD-10

DSM-5

F00-09 증상성을 포함하는 기질성 정신장애(organic mental disorder)에 해당 기질성 정신장애는 뇌질환에서 직접 기원하는 일차적인 정신장애일 수도 있고, 다른 전신질환들이 뇌를 공격한 결과인 이차적인 정신장애일 수도 있다. 

주요 증상: 인지기능 장애(섬망, 치매), 정신병적 장애

 

‘기질성(organic)’이란 용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있다. (생물정신의학의 발달로 인해 비기질성 혹은 기능성(functionnl) 정신장애(예: 조현병, 우울증 등)라 부르는 장애는 기질적 내지 생물학적 원인을 갖지 않는다는 견해는 잘못된 개념이 되었기 때문)

 

 

 

원인

  • 섬망이나 치매 등의 신경 인지장애를 야기하는 원인은 다양하나 공통적인 경우가 많다. 한 가지 장애가 발병 경과에 따라 섬망에 이어 치매상태를 보이거나, 치매경과 중에 섬망을 보이기도 한다. 

 

 

 

신경인지장애에 대한 평가

  1. 세심한 병력청취 및 신체검사(신경학적 검사포함)
  2. 정신상태검사
  3. 기본 검사
    1. 혈액: CBC, 혈청 전해질, 혈당,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ine, 간기능검사, 혈청 매독 및 HIV 검사, 갑상선기능검사, 혈청 비타민 B12/folate 검사
    2. 소변: 소변검사 및 소변 내 약물검사 
    3. 심전도 
    4. 영상검사: 가슴 X선
  4. 신경인지검사
    1. 간이인지 기능검사: MMSE 
    2. 신경심리검사: CERAD, SNSB 
    3. 치매단게척도: CDR, GDS
  5. 뇌영상검사: CT, MRI, PET, SPECT
  6. 기타: 요추천자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