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성 장애: 주요 질환


목차

해리성 정체성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다중인격(multiple personality disorder)으로도 불리는 질환입니다. 한 개인에게 둘 이상의 구분되는 주체성(identity) 이나 인격(personality) 이 존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체성 (identity) / 인격(personality) 별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전혀 다른데요. 예를 들어, 누군가가 환자에게 화를 내면 한 인격은 눈물을 흘리며 억울해 하지만 다른 인격은 화를 내는 양상을 보입니다. 여러가지 인격 중에 주된 인격 (host personality)이 존재하는데요. 대개 우울하거나 불안하며, 지나치게 성실하고 도덕적인 경향이 많습니다. 주된 인격 외 다른 인격은 성내는 역할, 화내는 역할, 보호자 역할 등의 역할을 맡게 됩니다. 여러 개의 인격을 가지는 데 평균적으로 7개 가량의 인격을 가진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행동이나 태도가 달라지는 것 외에 기억이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한 인격의 행동의 결과를 다른 인격이 기억하지 못하고 공유하지 않습니다. 

 

개요

  • 개념 : 양성 해리증상을 나타내는 장애 → 2개 이상의 정체성
  • 역학 : 미국 성인 1년발병률 약 1.5%
  • 원인 : 원인 미상이나, 정신적 외상 경험과 관련된다고 봄.

 

임상양상

  • 동일한 사람에서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인격, 특정 시기에 그 중 우세한 인격이 행세.
  • 해리된 목소리, 해리된 행동과 말, 침범적 생각들, 평소와 다른 감정 및 충동 등이 갑자기 통제없이 침범함
  • 이인증과 비현실감 등 지각 장애
  • 기억상실
  • 경과 및 예후
    • 급격하게 발병, 다른 해리성 장애보다 예후 나쁨
    • 지속되는 학대, 다른 심각한 정신장애 동반될 경우, 치료 지연될 경우, 조기 발병일수록 예후 나쁨
    • 대부분 만성화

 

진단(DSM-5 요약)

  1. 정체성의 와해가 둘 이상의 분명한 인격상태로 나타남
  2. 정체성의 와해는 자아감과 주체감의 심각한 단절을 포함함
  3. 정서, 행동, 의식, 기억, 지각, 인지, 감각-운동기능에서의 변화 동반
  4. 외상적 사건들에 대한 기억에서의 빈번한 공백
  5. 일상 생활의 장애

 

치료

  • 치료목표 : 마음의 조각난 상태들을 다시 통합시키는 것
    1. 정신치료 : 해리된 기억을 회상해내고 그에 관련된 감정을 처리함
    2. 인지행동치료 : 증상을 경감시킨 후 인격과 자아의 조각난 상태들을 하나로 통합시킴
    3. 통찰정신치료 : 해리된 인격들 간에 대화를 하도록 하여 재통합 시도
    4. 약물치료 : 특별히 증명된 바 없음. 우울/불안 등에 항우울제나 항불안제를 써볼 수는 있음

 

 

 

해리성 기억상실

개요

  • 개념 : 자전적 정보에 대한 회상 불능 상태가 정상범위를 넘어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지속적이거나 재발하는 장애, 단순한 건망증으로 설명될 수 없고 뇌기능장애 때문이 아님.

Cf. 해리성 둔주(해리성 기억상실의 특수한 형태)

  • 자신의 과거나 이름, 자기 신분이나 직업 등 정체성에 대한 기억 상실하여 가정 및 직장을 떠나 방황하거나 예정에 없던 여행을 하게 되는 장애
  • 임상양상 : 자기가 누구인지 모르고 방황, 기억상실이 있다는 사실도 모름
  • 예후 : 짧게는 수 시간, 길게는 수년간 나타남, 대개 자연적으로 회복
  • 치료 : 지지적으로 돌보는 것 외 특별한 치료 없음
  • 역학 : 해리장애 중 가장 흔하여 일반인구의 2~6%에 이름
  • 원인 : 방어기제로 해석 → 억압(repression)과 부정(denial) → 기억상실을 일으킴으로써 일차적 이득과 이차적 이득을 얻음

 

임상양상 및 진단

기억상실

  • 정상적으로는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중요한 자전적 정보를 회상하지 못함
  • 대개 스트레스가 심하였거나 상처가 컸던 사건에 대한 기억 등이 retrograde로 망각(사건 이전까지 잊음)
  • 치매와 달리 일반적 지식은 잘 유지, 생활에 지장 없음
    → 기억회복은 빠르게 나타날 수도 있지만 오래 지연되기도 함
    → 기억이 회복됨에 따라 불쾌감, 슬픔, 분노, 죄의식 등 고통을 느끼기도 하고, 자살행동이나 살인충동이 나타나기도 함.

국소적 기억상실: 가장 흔한 형태, 특정 시간대의 사건을 기억하지 못함

선택적 기억상실: 특정 시간대의 사건 중 전부가 아닌 일부만 기억 못함

전반적 기억상실: 전 생애 또는 개인의 정체성을 기억하지 못함. 아주 드묾.

체계적 기억상실: 정보의 특정 범주만 잊음(ex. 소아기 성학대에 관련된 모든 기억)

지속적 기억상실: 새로이 나타나는 개개의 사건을 계속 잊음

 

기억상실 외

  • 플래시백(외상사건을 행동적으로 재경험), 자해행동, 자살시도, 기타 위험행동
  • 우울증, 이인증, 자가최면증상, 성기능장애

감별진단

일시적∙전반적 기억상실(transient global amnesia; TGA)

→ 변연계 등의 일시적 허혈발작과 관련 있고, 스트레스나 갈등과는 상관 없음

→ 급성이며 후향 기억상실

→ 대개 최근 기억에 장애가 있으며, 전반적으로 기억상실이 있으나 정체성은 유지됨, 기억상실에 대해 속상해하며, 결국 기억을 완전히 회복

Cf. 뇌진탕후 기억상실은 대개 전향 기억상실

 

경과 및 예후

  • 급성 발병과 급격한 회복이 특징, 재발 드묾.
  • 이차적 이득 있으면 오래 끌기도 함

 

치료

  • 목표 : 상실된 기억 회복
  • 인지치료, 최면요법, 집단정신치료 시도할 수 있으나 확립된 것 없음
  • 약물치료 알려진 것 없고, 응급조치로 투여할 수 있음

 

 

 

이인증/비현실감 장애

개념 

  • 이인증: 자기 자신의 마음, 자기 또는 신체가 비현실적이거나 자신과 분리된 것 같은 경험
  • 비현실감: 자신의 주변환경이 비현실적이거나 자신과 분리된 것 같은 경험 → 현실검정 능력은 정상이고, 자아이질적(ego-dystonic)이어서 환자는 고통을 느낌

 

역학

  • 평균 발병연령은 16세, 40 대 이후에는 드묾. 
  • 진단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 평생유병률 약 2%
  • 이인증 또는 비현실감 중 1개 증상의 평생 유병률은 26~74%

 

원인

  • 외상적 스트레스와 관련

 

임상양상 및 진단

  1. 이인증
    • 자신의 전체, 자기 또는 자기의 일부로부터 분리되는 느낌
    • "나는 자아가 없다", "나는 느낌이 있는 줄 알지만 느낄 수 없다"
  2. 비현실감
    • 외계지각의 장애, 늘 대하던 세계가 낯설다는 비현실감
    • 주관적 시각의 왜곡도 동반(시각의 흐림, 변화된 거리감, 크기 변화 등)
  3. 현실검정은 정상적
  4. 일상 생활에 지장

 

경과 및 예후

  • 점진적이기도 하고 급작스럽기도 함
  • 삽화의 기간은 짧게는 수시간, 길게는 수주에서 수년

 

치료

  • 지지적 혹은 분석적 정신치료 → 현실적응능력 및 자아의 힘을 강화
  • 인지행동치료, 최면치료, 정신교육, 자가최면훈련 등도 시도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7장(해리성 장애) 406-419p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