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개념
- 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신체증상 호소로 인한 사회적 기능 저하가 있을 때를 통칭하여 신체증상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로 진단[과거 신체화장애(somatization disorder)로 불리던 장애]
역학
- 평생유병률 남성 0.2%, 여성 0.2~2.0%
- 주된 발병연령은 10대 후반, 보통 만성적 경과
원인
- 생물학적 이론 : 신체 감각에 대한 주의력과 인지에 장애, 유전적 경향 인정됨
- 정신역동적 해석: 말 못할 감정의 표현, 갈등의 상징화 등의 수단에 의해 신체화 나타남
- 행동이론 : 부모의 영향 중요시함
임상양상 및 진단
임상양상
- 모든 장기에 걸쳐 다양한 신체증상 → 신경계 증상(두통, 어지럼, 졸도감, 구역질), 위장과 심폐, 여성생식기계 등의 기능장애, 전신증상 등
- 불안이나 우울증 동반하기도 함
- 신체노출이 심하고 유혹적이며 이기적인 히스테리성 성격이 많음
- 경과 및 예후 : 만성 경과
진단(DSM-5)
|
치료
- 의사 한 사람이 주로 책임지고 정기적으로 일관성 있게 치료하는 게 좋음
- 증상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됨
- 심인성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깨닫도록 한 후 정신치료적 접근
- 분석적인 것보다 공감적/지지적 정신치료가 더 효과적
- 약물치료: 기분 장애 또는 불안 장애와 공존한다면 동반 질환을 치료할 목적으로 약물치료를 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효과는 거의 없음
- 정신치료: 암시, 최면 등 지지적 정신치료가 효과적
- 환자들은 통증의 완전한 소실을 목표로 하나, 치료적으로는 기능수준의 회복을 목표로 접근한다.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8장(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421-42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