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질병불안장애(Illness anxiety disorder, 건강염려증)
개념
역학
원인
임상양상
진단(DSM-5)
경과 및 예후
치료
신체이형장애, 신체변형장애, 신체 불구성 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개요
개념
역학
원인: 보통 미상
임상양상
경과 및 예후
치료
질병불안장애(Illness anxiety disorder, 건강염려증)
개념
- 질병불안장애(illness anxiety disorder): 신체적 증상이나 감각을 비현실적으로 부정확하게 인식해서 자신이 심한 병에 걸렸다는 집착과 공포를 가지게 된 상태
- DSM-IV에서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으로 불림
역학
- 증상 매우 흔하여 미국의 경우 일반인에서 7%
- 사춘기에 호발, 20대와 30대도 많음, 남=녀
- 의사에게도 많음
원인
- 주된 유발인자는 스트레스
임상양상
- 비현실적 신체적 질환이 있다는 신념에 사로잡혀 두려워하고 이로 인한 증상, 우울/불안 합병되기 쉬움
진단(DSM-5)
|
경과 및 예후
- 스트레스 요인과 관련되어 회복되었다가 다시 재발하는 등 삽화적
치료
- 치료 어려움, 스트레스 줄이도록 약물치료 및 적절한 정신치료
- 동반 증상(우울, 불안 등) 관리: 약물치료나 정신치료에 효과 있음
- 정기적인 의사와의 접촉, 진찰 등이 환자 안정시키는 데 도움
신체이형장애, 신체변형장애, 신체 불구성 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DSM-IV에서는 신체형장애(Somatoform disorder)에 속해있었으나 DSM-5에서는 강박 및 관련 장애로 분류가 바뀌었습니다.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와의 유사성 때문에 강박 및 관련 장애가 아닌 여기에서 다뤄 봤습니다.
개요
개념
- 정상적인 용모를 가진 사람이 자신의 외모가 달라졌거나 추한 모습으로 변했다고 믿음
- DSM-IV에서는 신체형장애 범주에 포함됨.
ICD-10에서는 신체형장애 범주 중 건강 염려성 장애에 포함됨.
DSM-5에서는 강박 및 관련 장애에 포함됨.
역학
- 미국의 경우 성인의 시점유병률이 2.4%
- 사춘기에 많이 발병, 여성에 약간 많고, 미혼에 많음.
원인: 보통 미상
- 생물학적 요인: 우울장애 자주 동반, SSRI에 반응 보이는 것으로 보아 serotonin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짐
- 정신역동학: 성적, 감정적 갈등이 신체부위로 대치되어 나타남 → 방어기제 : 억압, 해리, 왜곡, 상징화, 투사
임상양상
- 신체가 변형되거나 추해졌다고 생각함
- 우울, 불면, 불안이 생기며, 자살시도를 하기도 함.
- 강박성, 분열성 내지 자기애적 인격장애가 흔히 동반
- 성형외과에 반복하는 경우가 많고, 수술 후에 의사를 고소하는 경우도 있음
경과 및 예후
- 발병 평균 연령은 16~17세
- 대개 만성적
- 18세 이전 발병한 경우 성인 발병보다 자살시도 많고 공존질환 더 많이 가짐
치료
- 대개 정신과 찾는 경우 적음
- 정신사회적치료: 역동적 치료, 인지행동치료 등
- 약물치료: SSRI 효과 있다는 보고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8장(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5장(강박 및 관련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