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신체의학
- 정신적 요인은 종종 다양한 신체장애의 유발원인 또는 소인으로 작용하거나, 그 진행, 악화, 회복 지연, 그리고 재발에 영향을 끼침. 이러한 분야를 다루는 의학을 정신신체의학(psychosomatic medicine)이라 함.
- 스트레스 이론 : 현대의 스트레스 연구는 만성적, 예측불가의 스트레스요인들은 면역적 및 내분비적 장애, 기분장애, 기타 신경생물학적 및 정신적 장애들을 야기한다고 설명함
정신신체장애(Psychosomatic disorder)
개념
- 정신적 요소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여하여 신체 기능 또는 구조의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
Cf.신체증상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와의 차이점- 분명한 기질적 병리(예. 궤양성 장염) 또는 잘 알려진 병태생리과정(예: 편두통)이 존재함.
- 신체적 증상으로 인한 일차적 이득이 없고 오히려 불안과 고통이 증가됨
- 증상이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기관이나 내장장기에 나타남
- 정신적 원인이 장애 발생에 부분적으로 기여하나, 내적 갈등 또는 정신적 욕구의 상징성은 드물게 나타남
신체증상장애 vs. 정신신체장애
|
원인: 스트레스
- 생물학적 요인 → 자율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등에서 스트레스 반응으로 catecholamines, steroid 호르몬, 기타 면역 관련물질들이 작용
- 정신적 요인 → 과거의 부정적 경험, 부정적 자아상, A형 성격, 갈등과 스트레스를 다루는 대응전략 등이 관여
- 사회문화적 요인 → 생활의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등
치료
- 생물정신사회적(bio-psycho-social) 요인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중요 → 특정 질환 또는 증세만 치료하는 것은 부적절
- 신체증상에 대한 내과적 치료 + 정신과적 치료(정신치료, 행동치료, 향정신성 약물치료) 병용
- 스트레스 관리
임상양상
소화기계 장애: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호흡기계 장애: 과호흡증후군, 기관지천식
심혈관계 장애: 관상동맥심장질환(A형 인격), 고혈압, 감압성 실신, 심장신경증
내분비계 장애: 갑상선 기능항진증, 당뇨병, 쿠싱증후군
여성 내분비계 장애: 월경불순, 특발성 무월경, 폐경
피부계 장애: 소양증, 다한증, 적면증,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근육골격계 장애: 류마티스관절염, 요통, 섬유근육통
신경계 장애: 신체상 장애, 두통, 편두통
면역계 장애: 감염, 알레르기 장애, 자가면역질환
비뇨생식기계 장애: 비특이성 요도염
A형 성격(type A personality)과 관상동맥질환
- A형 성격 유형은 관상동맥질환 또는 죽상경화반 발생에 연관되어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 A형 성격 유형: 조바심, 공격성, 강렬한 성취욕, 시간적 긴박감, 인정받고 싶은 욕구, 진보에 대한 욕구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32장(정신신체의학 및 자문조정 정신의학)
- Shin J ho. Type A Personality and Coronary Artery Disease. Hanyang Med Rev 2014;34(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