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성 대식증, 폭식장애


목차

신경성 대식증

개념

  • 신경성 대식증(bulimia nervosa): 빨리 다량의 음식을 먹는 반복적인 폭식(binge-eating) 삽화와 그 뒤의 자가유발 구토, 하제 또는 이뇨제 남용 등 제거(purging)행동이라는 부적절한 보상행동이 특징
  •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매우 유사하게 체중증가를 두려워하고 체중감소를 원함

 

역학

  • 신경성 식욕부진증보다 더 빈번하게 발병
  • 젊은 여성의 3~5%에서 신경성 대식증이 진단됨

 

임상양상

  • 필수 증상 3가지: ① 폭식의 반복적인 삽화, ② 체중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반복적이고 부적절한 보상행동, ③ 체형과 체중이 자아평가에 과도한 영향
  •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폭식과 제거행동과 같은 부적절한 보상행동 모두 평균적으로 주 1회 이상, 3개월 동안 일어나야 함

 

진단(DSM-5 요약)

  1. 폭식의 반복적인 삽화
  2. 스스로 유도한 구토 또는 하제나 이뇨제, 관장약, 기타 약물의 남용 또는 금식이나 과도한 운동과 같은 체중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반복적이고 부적절한 보상행동
  3. 폭식과 부적절한 부상행동 모두 평균적으로 적어도 주 1회 이상, 3개월 동안 일어남
  4. 체형과 체중이 자아평가에 과도한 영향


  • 감별진단
    • 폭식/제거형 신경성 식욕부진증 → 폭식행동 보인다고 바로 신경성 대식증 진단을 내리지 않음. 최소한 3개월간 기준 충족시키면 신경성 대식증으로 진단
    • 폭식장애: 부적절한 보상행동이 없음

 

경과 및 예후

  • 환자의 체중은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경우가 많음. 과거에 비만이었던 경우도 있음.
  • 대체로 수년 동안 지속
  • 일부(10~15%)는 신경성 대식증에서 신경성 식욕부진증으로 이환
  • 신경성 대식증은 자살 위험도를 높임

 

치료

  • 인지행동치료가 가장 효과 좋은 TOC → 적극적인 self-monitoring, 구체적이고 엄격한 식사계획과 그 결과 감시, 체중/체형/음식에 대한 인지적 재구조화
  • 약물치료: SSRI가 가장 많이 사용됨

 

 

 

폭식장애

개념

  • 폭식장애(binge-eating disorder)의 핵심적인 특징은 반복되는 폭식 삽화이며, 뒤따르는 보상행동이 없다는 점에서 신경성 대식증과 다름

 

역학

  • 미국 유병률 여성 3.5%, 남성 2.0%

 

원인

  • 유전적 요인이 있을 것으로 추정, 부정적 감정상태에 의해 흔하게 유발됨

 

임상양상 및 진단(DSM-5)

  • 필수적인 특징은 반복적인 폭식 삽화 → 평균 3개월 동안 적어도 주 1회 이상
  • 빠른 속도로 먹기, 불편할 정도로 배가 부를 때까지 먹기, 자신이 먹는 것이 부끄러워서 혼자 먹는 행동, 폭식 후 자신에 대한 혐오감

 

경과 및 예후

  • 비교적 지속되는 것처럼 보임
  • 비만이 동반되는 경우는 2/3
  • 대사장애, 정형외과적 장애, 수면장애 등이 동반
  • 사망률은 12개월 추적연구에서 2.29%로 보고

 

치료

  • 목표: 폭식삽화, 체중, 신체적 합병증 줄이기
  • 인지행동치료: 식사, 음식, 체형, 체중 등에 대한 잘못된 인식 고침
  • 자가치료: 지도를 받아가며 인지행동치료를 스스로 시행
  • 약물치료: 항우울제(SSRI와 bupropion), 비만치료제인 Orilstat 또는 Topiramate → 문제 참고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9장(급식 및 섭식 장애)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