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면의 구조(Sleep architecture)
수면단계: 비렘수면과 렘수면, 1단계~4단계로 나뉨
Cf. 각성(수면 전단계): 8-12Hz의 α파 혼합 주파수의 저전압 활동성
- 비렘수면(non REM sleep, Non-rapid eye movement sleep)
- 1단계(전체 수면의 5%이하): 4-7Hz 저진폭 θ(Theta)파
- 2단계(전체 수면의 45-55%): 수면추파(Sleep spindles), K 복합파(K-complex)
- 3단계, 4단계(전체 수면의 15-20%): 깊은 수면으로 서파 수면(Slow wave sleep) 혹은 델타 수면(Delta sleep)이라 불림. 깨우기 힘듦. 0.5-2.5Hz 고진폭의 서파인 σ(Delta)파가 나타남.
- 3단계: σ파가 20-50%
- 4단계: σ파가 50% 이상을 차지함
- 렘수면(REM sleep, Rapid eye movement sleep): 전체 수면의 20-25%
- 저진폭의 혼합된 주파수와 톱니모양의 활동성 뇌파
- 근육 긴장도가 최하 수준으로 감소함.
- 빠른 안구 운동이 관찰됨.
- 꿈을 꾸는 단계로 비논리적인 사고가 지배적임.
수면주기와 분포
- 대략 90-100분 주기로 REM 수면과 NREM 수면이 반복
- REM sleep latency(렘수면 잠복시간)은 정상적인 경우 70-100분
- 깊은 수면은 수면의 전반부에서 주로 나타나고 수면의 후반부로 갈수록 적어짐
- 수면 전반부에 나타나는 첫 번째 렘수면은 매우 짧지만, 후반에는 길어짐
REM 수면과 NREM 수면의 비교
| NREM 수면 | REM 수면 |
percentage | 75% | 25% |
EMG | Episodic/involuntary movement(꿈 안 꾸고 가끔 뒤척임) | Paradoxical atonia(꿈꿀 때 움직이면 안됨) |
EOG | 없거나 느린 움직임 | Conjugate REM |
꿈 | 거의 없음 | 자주 있음 |
관계 호르몬 | 성장 호르몬 | cortisol |
연관된 수면장애 | 야경증, 몽유병, 이갈이, 유뇨증 | 기면증, 악몽, 렘수면 행동장애 |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21장(수면과 수면장애) 464-468p
- Bryant PA, Trinder J & Curtis N (2004) Sick and tired: Does sleep have a vital role in the immune system? Nat Rev Immunol 4, 457–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