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수면(parasomnia)


목차
  • 사건수면(parasomnia): 수면 기간 동안 나타나는 이상사건(예: 몽유병, 악몽)이 동반된 수면을 사건수면이라 함

 

 

 

비렘 수면각성장애

  • non REM 수면 시 나타나며, 수면에서 불완전하게 깨어나는 삽화가 반복적으로 나타남

 

몽유병(sleep walking)

  1. 개념: 수면 상태에서 잠자리를 벗어나 이상한 행동을 보임.

  2. 수면단계: 비렘수면 시, 즉 델타수면(3,4단계) 중에 발생 → 수면의 첫 1/3 기간에 주로 발생

  3. 역학: 매우 흔함, 소아에서 흔하며 10~30% 소아들이 최소한 한 번의 몽유행동

  4. 신경생리: 뇌간은 깨어있으나 대뇌피질은 잠자고 있는 분리상태 → 뇌파상에도 각성과 수면뇌파가 혼합됨

 

야경증, 수면놀람증(sleep terror)

  1. 개념: 잠자다가 무서운 소리를 지르거나, 심한 자율신경항진 증상.

  2. 수면단계: 비렘수면 시, 즉 델타수면(3,4단계) 중에 발생 → 수면의 첫 1/3 기간에 주로 발생

  3. 역학: 유병률 미상, 수면놀람증의 삽화는 18개월 나이 때 36.9%, 성인은 2.2%

  4. 증상: 자다가 무서운 소리 지름, 자율신경항진증상(심계항진, 땀 흘림, 숨 급하게 쉼), 지남력장애 등 혼돈 상태, 아침에 일어나 기억하지 못함

  5. 치료

    • 아주 피곤한 경우,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런 원인들 제거하고 일정한 취침 시간 지킴
    • 심한 경우 benzodiazepine

 

 

 

악몽장애(nightmare disorder)

  1. 개념: 수면 중 생생한 꿈을 꾸게 되면서 불안이 증가하다가 잠을 깨게 되는 장애
  2. 수면단계: 렘수면, 렘수면이 많은 수면 중반 이후(주로 새벽)에 많이 발생
  3. 증상: REM 수면 중에 근육이 이완되고 꿈을 꿈, 근육억제가 안 되면 난폭행동이 나타날 수 있음
  4. 진단(DSM-5)
    • 극히 불쾌하며 생생한 꿈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생존, 안전 또는 신체보전에 대한 위협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대부분의 내용이며, 주 수면기간의 후반부에 주로 일어남
    • 불쾌한 꿈에서 깬 후 환자는 곧 지남력과 각성 회복
    • 일상생활에 지장
  5. 치료
    • 대개 특별한 치료는 불필요
    • 약물: 삼환계 항우울제(REM수면 억제), benzodiazepine(nitrazepam, triazolam)

2018년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Position Paper

  • PTSD associated nightmares: atypical antipsychotics(olanzapine, risperidone, aripiprazole), clonidine, cyproheptadine, fluvoxamine, gabapentin, nabilone, phenelzine, prazosin, topiramate, trazodone, tricyclic antidepressants
  • nightmare disorder: nitrazepam, prazosin, triazolam
  • 추천되지 않는 치료: clonazepam, venlafaxine

 

 

 

렘수면 행동장애(REM sleep behavior disorder)

  1. 개념: 렘수면 때 있어야 할 이완증(atonia)이 소실되면서 난폭하고 복합적인 행동이 나타남(꿈 내용의 행동화)
  2. 역학: 만성 진행성 장애로, 대개 50대 이상의 남성에게서 흔함. 파킨슨병, 치매 등과 같은 신경학 질환에서도 나타남
  3. 진단(DSM-5)
    • 수면 중에 각성하는 삽화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소리를 내거나 복잡한 행동을 보임
    • 흔히 수면 후반기에 잘 나타남
    • 수면다원검사에서 atonia가 없는 렘수면
    • 렘수면행동장애를 시사하는 기왕력 있고, 파킨슨병이나 multiple system atrophy 등의 신경학적 질환 진단 받은 바 있음
    • 일상 생활에 지장
  1. 치료
    • Clonazepam: benzodiazepine계 약물로 대부분의 환자에서 빠른 효과
    • Melatonin 자기 전 투여하는 것도 효과적
    • Pramipexole(도파민 효현제), paroxetine(항우울제) 등이 도움 된다는 보고도 있음

 

 

 

다리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RLS, 하지불안증후군)

  1. 개념: 다리에 매우 괴로운 불편감이나 근질거리는 이상한 느낌. 가만히 있을 때 심하게 느껴지며, 계속 다리를 움직거려야 좀 나아지는 것 느낌. 저녁이나 밤에 강해져 잠을 잘 못 잠
  2. 역학: 젊은 나이(10~20대)에 경험 시작, 60세까지는 나이 들면서 증가하는 경향
  3. 원인
    • 환자의 60%에서 가족력 등 유전적 요인 발견
    • 신체질환
      • 임신, 철분결핍 및 vitamine B12 결핍의 빈혈, 신장질환
      • 채식주의자, ADHD 환자, 파킨슨병 환자, 알코올 남용자 등
      • SSRI, TCA, 항정신병 약물, Lithium, 항히스타민제, 흡연 등이 장애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 발생기전은 중추신경계의 dopamine과 철대사 장애
  4. 진단(DSM-5)
    • 다리에서 느껴지는 불편하고 불쾌한 감각 때문에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있음.
    • 충동은 낮보다는 저녁이나 밤에 악화
    • 주 3회 이상, 3개월 이상 지속
    • 일상 생활 지장
  5. 치료
    1. 첫 단계는 빈혈치료(철결핍빈혈 확인 및 교정)
    2. 비약물치료: 증상이 경미하거나, 드물게 발생하는 환자들은 비약물 치료 우선
      1. 수면 위생 개선 
      2. 증상의 원인이 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약물 가능하다면 중지: 항도파민제제,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3. 물리 치료(온열치료, 월풀, 마사지, 전기자극치료 등): 일시적인 효과
      4. 적당한 운동, 맨손체조, 마사지, 정신적인 활동(예, 퍼즐게임, 비디오게임) → 증상 완화에 도움
      5. 다리에 진동자극을 주는 Relaxis 패드 장비(2014년 미국 FDA 승인)
    3. 약물치료: 대부분 증상완화를 위한 대증적 치료. Dopamine 제제를 기본으로 해서 다른 제제를 병용하여 처방한다.
      1. Dopamine 제제: dopamine agonist(pramipexole, ropinirole, rotigotine), L-dopa / carbidopa, bromocriptine, pergolide
      2. 항뇌전증제(gabapentin, pregabalin), opiates 등
      3. Benzodiazepine계 : clonazepam. (그리 효과적이지는 않다.)

 

 

 

주기성 사지 운동 장애(PLMD, Periodic limb movements disorder)

  1. 개념: 반복적인 사지 근육 운동이 수면 중 나타나는 질환.
  2. 역학: 나이에 따라 유병률 증가. 요독증, 대사질환, 빈혈, 당뇨 등의 질환과 TCA, MAOi, 리튬 등의 약제와도 관련이 있음.
  3. 확진: 수면다원검사(심각성 평가에도 이용)
    • 주기성 사지 운동: 0.5-5초간 지속하는 전경골근의 근전도 증가가 4-90초 간격으로 연속 4회 이상 나타날 때
  4. 치료
    1. 비약물치료: 수면위생 개선, 카페인, 알코올 
    2. 약물치료: RLS의 약물치료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지만 약물치료에 대한 증거는 불충분
      1. Benzodiazepine(Clonazepam)
      2. dopamine 제제: dopamine agonist(pramipexole, ropinirole, rotigotine), L-dopa / carbidopa,
      3. 기타: melatonin, valproate, Selegiline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21장(수면과 수면장애)
  • Kang SG. Updates on the Treatment of Restless Legs Syndrome.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18;25(1):5-8
  • Aurora RN, Kristo DA, Bista SR, et al. The treatment of restless legs syndrome and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in adults--an update for 2012: practice parameters with an evidence-bas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leep 2012;35(8):1039–62.
  • Lee YA, Huynh P, Neher JO, Safranek S. Clinical Inquiry. What drugs are effective for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J Fam Pract 2012;61(5):296–8.
  • Morgenthaler TI, Auerbach S, Casey KR, et al. Position Paper for the Treatment of Nightmare Disorder in Adults: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Position Paper. J Clin Sleep Med 2018;14(6):1041–55.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