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상적인 성반응
욕구기(Desire phase)
흥분기(Excitement phase, 고조기)
극치기(Orgasm phase, 절정기)
해소기(Resolution phase)
성반능주기에 따른 성기능 장애
성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
개요
개념
역학
원인
진단
경과
성기능장애의 치료
종류
발기장애(발기부전)
지연사정
조루증(m/c)
여성 절정감장애
성기-골반통증/삽입장애
물질/약물 유도성 성기능장애
정상적인 성반응
욕구기(Desire phase)
- 특성: 성행위에 대한 성적 공상이나 욕구가 나타날 때
- 기능장애: 성욕감퇴장애, 성욕혐오장애
흥분기(Excitement phase, 고조기)
- 특성: 키스나 애무행위 같은 신체적 자극이나 성에 관한 공상 등의 심리적 자극에 의해 성적 흥분이 야기됨
- 국소 울혈은 고조기에 최고조가 됨
- 기능장애: 여성흥분장애, 남성흥분장애, 남성발기장애
극치기(Orgasm phase, 절정기)
- 특성
- 회음부 근육과 골반 내 기관 수축
- 쾌감이 최고조에 다다름
- 자극이 계속되면 교감신경계와 pudendal nerve의 기능에 따라 사정이 일어남
- 여성의 경우 극치감 질과 음핵 동시에 존재
- 기능장애: 여성절정감장애, 남성절정기장애(=사정지연), 조루증
해소기(Resolution phase)
- 특성
- 15~40분에 걸쳐 신체가 성적 자극이 없던 원상태로 돌아가는 시기, 근육이완
- 남성: 불응기(연령에 따라 증가) / 여성: 반복적 절정감 재경험 가능
- 기능장애: 성교 후 두통, 질 경련
성반능주기에 따른 성기능 장애
| 특성 | 기능장애 |
욕구기 |
|
|
흥분기(고조기 포함) |
|
|
절정기 |
|
|
해소기 |
|
|
성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
개요
개념
- 정상적인 성생리의 반응이 억제됨으로써 어떤 형태로든 성행위에 곤란을 느끼는 질환
- 발생 시기에 따라 평생형과 획득형으로, 또는 내용에 따라 전반형과 상황형으로 구분
역학
- 미국의 경우 남성 31%, 여성 43%
- 지역사회 역학조사 → 남성 절정감장애 0~3%, 남성 발기장애 0~5%, 남성 성욕감퇴 장애 & 조루증 4~5%, 여성 절정감장애 7~10%
원인
- 정신적 원인: 성과 성생리에 대한 무지, 혐오, 기피, 의사소통 실패하였을 때
- 신체적 원인: 영양장애, 신체질병, 호르몬장애, 성기능의 신경생리학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의 영향
- 복합적 원인
진단
- 파트너 요인, 관계요인, 개인적 취약성 요인, 문화적 및 종교적 요인 등을 함께 고려
- 검사
- 발기부전 → 기질적 원인과 기능적 원인 감별 위해 야간음경종창 측정, 음경혈량계, 초음파유량계, 음경혈압 측정, 음부신경의 잠재시간 등 측정
- 일반적인 신체건강 검사: 당뇨병검사, 혈장호르몬분석, 간기능검사, 갑상선기능검사, prolactin, FSH, 방광내압
- DSM-5 진단기준: 모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장애들이 최소한 6개월 이상, 심각한 관계적 고통
경과
- 발병은 대개 성인 초기, 경과는 매우 다양
성기능장애의 치료
- Dual-sex therapy: 부부를 함께 치료
- 감각집중훈련: 행동치료의 대표적인 방법, 성행위 완수에 대한 불안감에서 해방시킴.
- 정신역동적 성치료
- 생물학적 치료
- 약물치료: 남성 발기장애 → Sildenafil(비아그라), vardenafil(레비트라), tadalafil(시알리스) 등
- 수술: 드묾
종류
발기장애(발기부전)
- 흥분기 장애: 성적 흥분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장애를 받아 발기력이 약하거나 유지가 되지 않아 끝내 성행위를 성공적으로 끝내지 못함
- 역학: 모든 성인 남성의 10~20%에서 보고, 성기능장애로 치료받는 남성의 50%가 발기부전 호소
- 원인: 기질적 원인 또는 복합적 원인도 있으나 대부분 심인성으로 봄
지연사정
- 남성 절정감 장애: 흥분기나 고조기에는 잘 도달하지만 절정기로는 진입하지 못함
- 원인: 엄격하고 청교도적인 집안 환경, 성과 성기에 대한 죄책감 등이 관련
조루증(m/c)
- 남성의 절정기 장애 →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사정되는 현상
- 역학: 성인 남성의 성기능 장애 중 가장 흔한 유형, 성기능장애로 치료받는 남성의 35~40%에서 호소
여성 절정감장애
- 여성 절정감 장애: 적절한 조건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적 흥분 상태에는 도달하나 그 뒤의 절정감이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결여되거나 지연되는 경우
- 역학: 여성 절정감장애의 전체유병률은 30%로 추정
- 원인: 의학적 상태, 정신적 원인
성기-골반통증/삽입장애
- 성교통: 성행위 직전이나 도중 또는 직후에 다양한 통증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느낌, 질경련과 관계 있는 경우 많음
- 통증을 느끼는 부위는 주로 내부 성기관이나 외부 성기, 간혹 하복부, 항문 등에서 느끼기도 함
- 원인: 주로 정신적 원인에 의함
물질/약물 유도성 성기능장애
- 알코올, amphetamine 계통 약물, 코카인, 아편, 진정제, 최면제, 항불안제 등의 중독(intoxication) 시 또는 금단(withdrawal) 후 1개월 내에 심각한 정도의 성기능장애가 나타날 때 진단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22장(성과 성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