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괴적, 충동조절 및 행실 장애(disruptive, impulse-control and conduct disorders)
파괴적, 충동조절 및 행실 장애(disruptive, impulse-control and conduct disorders)
- DSM-5에서 새롭게 추가된 진단범주
- 감정적 및 행동적 조절장애를 의미한다. 병적 충동성, 공격성, 규율위반 행동 등이 특징이다.
- 각 질환들은 크게 2가지 영역(정서, 행동)에서의 자기조절 중 어떤 부분이 더 많이 관련되는가에 따라 구별된다.
충동조절장애 | ± | 파괴적 행동장에 |
- 방화, 도둑질 등 충동을 자제하지 않고 바로 행동으로 옮겨 해결하려는 경향
- 공통적인 양상
-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가 될 만한 행동을 하려는 충동, 욕구, 유혹을 억제하지 못한다(충동을 의식적으로 억제할 수도 억제하지 않을 수도 있고, 그런 행동을 계획할 수도 계획하지 않을 수도 있다).
- 충동적 행동을 저지르기 전까지 긴장감이나 각성상태가 고조된다.
- 일단 행동으로 옮기면 쾌감, 만족감 또는 긴장에서의 해방감을 경험한다.
| | - 언어폭력, 적대행동, 폭력행동, 충동성, 비행 등
- 행실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반사회적 성격장애 등
- 충동성과도 관련되나 충동조절장애는 파괴적 행동장애와 다른 특성도 가지고 있어 구별된다.
|
▼ | | ▼ |
감정(정서) 조절에 보다 문제를 보이는 경우 | 중간 정도의 특성 | 행동조절에 보다 문제르 보이는 경우 |
간헐적 폭발성 장애: 대인관계 혹은 각종 상황이나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해 지나친 분노폭발을 나타낸다. | 적대적 반항장애: 정서조절 문제(분노 등) + 행동조절 문제(반항행동, 과도한 논쟁적 성향 등) | 행실장애, 반사회적 성격장애 |
DSM-5 분류
DSM-IV: 충동조절장애(impulse control disorder), 아동기 장애 | DSM-5: 파괴적, 충동조절 및 행실 장애(disruptive, impulse-control and conduct disorders) |
충동조절장애(impulse control disorder) - 병적 도박(pathological gambling)
- 병적 방화
- 병적 도벽
- 발모광(발모벽)(trichotillomania)
- 간헐적 폭발성 장애 또는 간헐적 폭발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 미분류 충동조절장애(impulse control disorder, NOS)
아동기 장애 -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 반항성 장애 또는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성격장애 - 반사희적 성격장에(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 - 반항성 장애 또는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분류 이동
- 간헐적 폭발성 장애 또는 간헐적 폭발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분류 이동
- 반사회성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DSM-5에서 성격장애에도 동시 분류
- 병적 방화 또는 방화증(Pyromania)
- 병적 도벽 또는 도벽증(Kleptomania)
- 기타 충동조절장애(impulse-contro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cf. 병적 도박(pathological gambling) => 도박장애(gambling disorder) '물질 관련 및 중독성 장애' 발모벽(trichotillomania) => '강박 및 관련장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