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충동조절장애 개요
개념
파괴적 행동장애와의 차이점
간헐적 폭발성 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개념
역학
원인
임상양상 및 진단(DSM-5 요약)
경과 및 예후
치료
방화광(Pyromania)
개념
역학
원인
임상양상 및 진단
절도광(Kleptomania)
개념
역학
원인
임상양상 및 진단
발모광(Trichotillomania)
개요
역학
원인
치료
충동조절장애 개요
개념
- 방화, 도둑질 등 충동을 자제하지 않고 바로 행동으로 옮겨 해결하려는 경향, 행동화함으로써 고통스러운 감정 또는 환경으로부터 벗어나려 함
파괴적 행동장애와의 차이점
-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가 될 만한 행동을 하려는 충동, 욕구, 유혹을 억제하지 못함
- 충동적 행동을 저지르기 전까지 긴장감이나 각성상태가 고조됨
- 일단 행동으로 옮기면 쾌감, 만족감 또는 긴장에서의 해방감을 경험 → 행동이 욕망과 동시에 발생하므로 자아동조적(ego-syntonic)
간헐적 폭발성 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개념
- 심한 폭력사태나 재산의 파괴를 가져올 수 있는 공격적인 충동을 조절하는 데 실패하여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재산을 파괴하는 장애
역학
- 미국의 경우 평생유병률 4.0~7.3%, 1년유병률 2.8~3.9%
- 주로 젊은 층에서 나타남, 남>여
- 저학력, 가난, 소수인종에 많음
원인
- 유전: 가족력 연구와 쌍둥이 연구에서 확인
- 신경해부: 변연계와 orbital frontal lobe의 장애가 흔히 원인으로 거론됨
- 신경화학: serotonin 신경전달 감소된 상태와 연관
임상양상 및 진단(DSM-5 요약)
Cf. 6~18세 소아에서, 적응장애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공격적 행동을 이 질환의 진단에 적용시켜서는 안됨 |
경과 및 예후
- 예기치 못한 공격적 행동 때문에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어려워지며 감옥이나 병원 신세를 지는 것이 보통
-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증상 약화
- 뇌장애가 심할수록 더 심하고 더 빈번한 삽화
치료
- 특이한 치료법 없고 약물치료와 정신치료 겸하여 사용
-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집단치료, 가족치료
- 약물치료로는 SSRI가 주로 사용됨
방화광(Pyromania)
개념
- 불을 지르고 싶은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여 반복적으로 목적에 따라 신중하게 불을 지르거나, 불타는 것을 봄으로써 긴장이 완화되고 강한 황홀감을 느끼는 경우
역학
- 약 8:1의 비율로 남성에서 많음
원인
- 생물학적 원인으로 CSF 내 5-HIAA와 MHPG 수치가 매우 낮아 serotonergic 및 adrenergic 체계가 방화광과 관련됨을 시사
- 저혈당도 방화광의 행동과 관련된다는 보고 있음
임상양상 및 진단
|
절도광(Kleptomania)
개념
- 개인적으로 필요하지도 않고 금전적인 가치가 있는 것도 아닌 물건들을 훔치고 싶은 충동을 반복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
역학
- 1:3으로 여성이 많음
원인
- 상실, 이별, 중요한 관계의 중단 등 의미 있는 스트레스가 있는 시기에 나타나는 경향
- 뇌질환이나 정신지체 때문에 이득 없는 절도 하는 경우도 있음
- Serotonin 감소가 관여한다는 주장도 있음
임상양상 및 진단
- 훔친물건 자체가 목표일 때는 절도광이 아니며, 훔치는 행위 자체가 일차적 목표일 때만 절도광
발모광(Trichotillomania)
개요
- 털을 뽑으려는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충동조절장애
역학
- 드묾. 여 > 남 (어릴 때에는 비슷)
원인
- 세로토닌 체계의 이상. 털을 뽑는 행동에서 큰 쾌감을 얻는 것이 아닌 경우가 많아 일종의 강박행동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강박사고로 인한 불안을 줄이려는 시도가 아닌 점에서 차이가 있음. → DSM-5에서는 강박장애 연관질환으로 범주가 바뀌었다.
치료
- 정신과 치료[최면, 바이오피드백, 습관반전치료(habit reversal therapy), 약물-Clomipramine, SSRI, Naltrexone] + 피부과 치료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23장(파괴적, 충동조절 및 행실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