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개념
- 매우 불충분한 보살핌 때문에 소아가 사회적 관계를 맺지 못하는 경우
- 소아, 청소년기 발병 정신장애에 속하였는데, 이제 그런 장애가 성인에서도 나타난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DSM-5에서 스트레스 관련 장애 범주에 들어감
- 정신지체나 전반적 발달장애로 인한 것이 아님
임상양상 및 진단
임상양상
- 핵심증상은 소아가 타인과 사회적 관계를 맺지 못하는 것
- 자연스런 움직임이 없고, 웃지 않고, 표정이 멍하고, 무감동하거나 슬퍼보임,자극에 대한 반응 느리고, 대부분 영양상태 심각하게 나쁨
- 유형
- 억제형: 병적인 애착반응으로 타인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갖지 못함
- 탈억제형: 애착행동이 무분별하게 나타나서 낯선 사람에게 극단적 친밀감을 보이지만 헤어져도 별다른 감정반응이 없음
진단기준
|
경과 및 예후
- 양육환경이 바뀌면 건강한 소아로 발달되기도 함
- 일반적으로 중재 없이 나쁜 환경에 있는 기간이 길고 신체적/정서적 손상을 더 많이 받는 경우 예후 나쁨
치료
- 반응적이며 일관성 있는 부모와 더불어 선택적 애착을 형성하도록 도움
- 입원하든 집에 있든 환아가 안전한 장소에 있게 하고, 환아의 감정적 욕구를 만족시켜주고, 정서적/신체적 안녕을 계속 점검하며, 안전감을 회복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