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의사소통장애
언어장애
개념
역학
임상양상 및 진단
경과 및 예후
치료
언어발음장애
개념
역학
임상양상 및 진단
경과 및 예후
치료
소아기 발병 유창성 장애(말더듬)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
개념
임상양상
학습장애 (Learning disorder)
읽기장애
개념
역학
임상양상
치료
쓰기표현장애
개념
역학
임상양상
치료
수학장애
개념
역학
임상양상
치료
의사소통장애
- DSM-5에서는 언어장애, 언어발음장애,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로 분류하여 설명
언어장애
개념
- 소아의 말하는 언어표현 능력이 정신연령에 적절한 수준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 ICD-10에서는 표현성 언어장애라 부름.
Cf. 보통 언어 이해능력이 낮은 수용성 언어장애와 자주 비교됩니다.
역학
- 미국의 경우 3~5세 소아들의 46%가 다소의 언어장애
임상양상 및 진단
|
경과 및 예후
- 공존질환의 종류에 따라 차이 남.
- 가벼운 경우 약 50%에서는 저절로 회복. 4세 이후 계속되는 언어장애는 이후 지속되기 쉬움
치료
- 진단되는 즉시 언어치료
언어발음장애
개념
- 소아의 언어기술은 정상적이지만, 말하기 소리를 구사하는 수준이 정신연령에 적절한 수준 아래에 있는 경우, DSM-IV에서는 음성장애라 부름.
역학
- 일반적으로 8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10%, 8세 이상에서는 5%
임상양상 및 진단
|
경과 및 예후
- 발음장애가 2~3개의 음소에만 있는 경우 대부분 저절로 회복, 5세가 지난 후에도 지속되면 평가 받아야 함
치료
- 언어치료가 효과적
소아기 발병 유창성 장애(말더듬)
- 말할 때 음이나 음절을 자주 반복하거나 지연시키고 한 단어 사이를 쉬어서 발음하기 때문에 유창하게 말하는 것이 나이에 비해 현저한 장애가 있을 때 진단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
개념
- DSM-5에 포함된 새로운 개념. 자연스러운 문맥으로나 사회적 실용성 측면에서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잘 못함.
임상양상
- 대화나 이야기를 할 때의 암묵적인 규칙을 따르는 것, 잘못 이해하였을 때 좀 더 분명히 말하기, 비언어적 신호의 적절한 사용 등을 잘 못함
- 숙어, 유머, 상징, 중의법 등을 이해하지 못함
학습장애 (Learning disorder)
읽기장애
개념
- 지능이 정상, 지각장애가 없고 정상적인 학습을 받았는데도 글자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느리거나 부정확하게 글을 읽거나 글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역학
- 학령기 소아의 약 4~10%, 남:여=3~4:1
임상양상
- 글을 읽을 때 철자를 빼먹거나 더하거나 왜곡되게 읽음
- 글을 읽는 속도도 느리고 읽은 글에 대한 이해도 떨어짐
- 의사소통 장애, 쓰기장애 흔히 동반
치료
- 언어치료, 특수치료, 읽기 교육과 집단치료, 경우에 따라 특수교육
쓰기표현장애
개념
- 나이, 지능 및 학력을 고려한 기대치 이하로 쓰기 능력에 장애가 있는 경우
역학
- 학령기에서 6%
임상양상
- 간단한 문장을 쓰는데도 문법을 틀리게 사용, 철자법 오류
- 언어장애와 읽기장애를 동반하는 경우 흔함
- 언어장애가 먼저 진단 → 쓰기장애는 학령기에 진단
- 이차적으로 만성적인 우울증, 등교거부, 무단결석, 주의력장애 동반 가능
치료
- 특수교육
수학장애
개념
- 학력과 지능을 고려하여 기대되는 수준보다 산술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역학
- 학령기 아동에서 1%
임상양상
- 다른 학습장애나 언어장애가 동반되는 경우 흔함
- 7~8세경 진단 가능
- 수를 세고, 더하고 빼는 등의 기본 연산능력이 나이에 비해 떨어지나, 다른 영역에서는 정상적인 지적 기능
치료
- 특수교육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27장(소아,청소년 정신의학) 630-63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