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조혈 (hematopoiesis) 과정
- 조혈 (Hematopoiesis)은 피의 구성성분을 만드는 작업으로, 조혈간세포 (hematopoietic stem cell)에서 시작해서 RBC, granulocyte, monocyte, platelet 등으로 끝나는 과정을 말한다.
조혈과정
- 조혈과정이 Lymphoid, Myeloid stem cell로 먼저 나뉘어서 분화를 한다는 점(혈액암의 AML, ALL, CML, CLL의 M과 L의 약자)
- RBC의 생성에 erythropoietin의 signal (CFU-e)이 영향을 준다는 점
이렇게 두 가지만 일단 기억해도 될 것 같다.
적혈구 조혈의 기전
- 적혈구가 적게 만들어지던, 말초에서 많이 깨지던, 출혈이 있던, 여러 가지 이유로, 혈액의 양이 줄어들면 신장에서 감지를 한다. 신장의 peritubular capillary의 JG cell에서 erythropoietin 이라고, "적혈구 더 만들자"라는 호르몬을 골수에게 전달을 하고, 골수에서 적혈구를 생성한다.
- 신장조직에 산소전달이 떨어지는 환경으로는 RBC mass가 줄어든 경우, Hemoglobin에 결합한 산소가 적은 경우, 신장혈관의 문제로 혈류공급이 부족한 경우(renal artery stenosis)가 있다.
- 나중에 자세히 나오겠지만 빈혈의 이유는 크게 1) 재료가 부족해서 (철결핍 빈혈, 거대적혈모구 빈혈 등), 2) 골수가 맛이 가서 (재생불량 빈혈 등), 3) 말초에서 혈액이 많이 깨져서 (용혈 빈혈 - hemoglobinopathy: sickle cell anemia, thalassemia 등)가 있다.
적혈구 조혈의 기전
빈혈 (Anemia)에 대한 고찰
빈혈의 정의
- 빈혈(anemia)이란 말초혈액 속의 혈색소 농도가 감소된 상태를 가리킨다. 원인과 상관없이 혈색소 농도가 감소되어 있으면 빈혈이라고 부른다.
- 빈혈은 Hb(혹은 Hct)의 감소로 평가한다.
빈혈은 순환 적혈구의 양이 조직 내 산소 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할 만큼 감소된 상태로 정의 내릴 수 있습니다.
적혈구의 가장 중요한 작용은 산소를 운반하는 것인데 적혈구에 들어있는 혈색소가 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빈혈의 지표로 RBC보다는 Hb/ Hct를 이용하게 됩니다. (빈혈 = 적혈구 수 감소 = 혈색소농도 감소 )
빈혈의 WHO 기준
나이 | 남성 | 여성 |
6개월-6세 | Hb<11g/dL | Hb<11g/dL |
6세~14세 | Hb<12g/dL | Hb<12g/dL |
성인 | Hb<13g/dL Hct<39% | Hb<12g/dL Hct<39% |
임신부 |
| Hb<11g/dL |
Hb 기준은 나이, 성별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고도(altitude)에 따라서도 Hb 수치는 가변적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