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생 기전에 따른 분류
- 빈혈은 발생 기전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 정도로 나눌 수 있다
어떤 종류의 빈혈인가? | ||
↙ | ↓ | ↘ |
1) 저증식성 빈혈(hypoproliferative anemia) | 2) 적혈구 성숙장애(maturation disorder) | 3) 적혈구 소실의 증가(hemolysis/hemorrhage) |
적혈구 생산 자체가 감소되는 경우 | 적혈구가 만들어지긴 하는데 적혈 성숙과정에 문제가 생겨 불량품이 만들어지는 경우 | 열심히 만들기는 하지만 출혈이나 용혈로 인해 지출이 과다한 경우 |
|
|
|
|
|
|
적혈구 생산 과정을 요리 혹은 농사 과정을 연관시켜 연상해보면 빈혈이 생기는 원인 및 기전을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적혈구 생산과 연관된 과정 어느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적혈구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고 이는 빈혈로 이어지게 됩니다.
음식 조리 과정 | 농사 과정 | 적혈구 생산 과정 |
| 연관된 빈혈 |
음식을 만들 수 있는 장소(주방) | 밭 | 정상 줄기세포(stem cell), 골수지지조직 | → | 재생불량빈혈(aplastic anemia), 순적혈구무형성증(pure red cell aplasia) |
음식재료 | 씨앗 | 철 Hb 합성에 가장 중요한 재료인 철분이 충분해야 합니다. | → | 철결핍빈혈(iron deficiency anemia) |
조미료 | 거름, 적절한 기후 | 비타민 B12 · 엽산(folic acid) 적혈모구를 성숙시키기 위한 비타민 B12 · 엽산(folic acid) 등이 있어야 합니다. | → | 거대적혈모구빈혈(megaloblastic anemia) |
요리사 | 농부 | 혈색소 합성효소, 보조효소(비타민 B6 등) | → | 만성 질환 빈혈(만성 염증, 대사 장애, 만성 신질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