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 대사의 생리
철 대사에 대해서는 가볍게 읽고 넘어가세요. iron panel과 연관된 지표에 초점을 맞춰 개념을 잡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흡수 |
위산이 철분흡수에 중요하기 때문에 gastrectomy(subtotal or total)를 시행할 경우 위산분비량이 줄어 철의 흡수에 문제가 생깁니다. |
▼ | |
운반 |
|
▼ | |
분포 |
|
철결핍빈혈의 원인
철결핍 빈혈은 철분이 부족해서 생기는 빈혈입니다. 체내 철분이 공급되고 소실되는 역동적인 과정 속에서 유지되고 있는 체내 철분의 항상성에 불균형이 초래되면 철분 부족이 발생하게 됩니다. 즉 철분 공급량이 줄어들거나 철분 소실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철분 결핍이 발생합니다.
철분 공급 | ↔ | 철분 소실 |
| 급성/만성 실혈: blood loss가 가장 흔한 원인
| |
▼ | ||
철결핍빈혈 |
증상
개념부터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은 RBC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부족하면 빈혈이 유발됩니다.
인체는 철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서, 일정량의 철을 저장하고 있고, 어떤 원인에 의해서 철이 부족하게 될 경우 저장하고 있는 것을 최대한 다 사용하면서 RBC를 생산합니다.
따라서 임상적으로는 빈혈에 의한 증상이 가장 늦게 나타나고, 저장철을 나타내는 지표 (Serum ferritin)가 가장 먼저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치료 시에는 위와 반대의 과정이 일어나는데 인체는 철을 저장시키기보다, RBC 생산에 먼저 이용하므로, 임상증상 회복이 가장 먼저 나타나고, 저장철 (Serum ferritin)을 나타내는 지표가 가장 늦게 정상화됩니다. (증상호전 → 그물적혈구 증가 → Hb 상승 → ferritin 복구)
- 비특이 증상
- Hct가 30% 이상 감소된 경우, 증상이 나타나므로, 초기엔 대부분 무증상
- 피로, 창백, 어지러움, 운동능력감소, 짜증
- 소아의 경우, 식욕감소, 성장지연, 잘 보챔, 기운 없음 등의 비특이적 증상
- 결핍순서: ferritin↓ → TIBC↑ → iron ↓ → MCV↓, Hb↓ → 증상 발생
- 특이 증상
- Chlorosis(위황병 : 엷은 녹색의 얼굴빛)
- Pica(이식증) : 흙(geophasia), 전분, 생쌀(amylophagia), 얼음(pagophagia), 페인트 등을 먹으려하는 것
- 상피세포 이상 : 혀유두 위축, cheilosis(구각염), koilonychia(스푼형 손톱)
- Plummer-Vinson증후군 = Paterson-Kelly 증후군 : cervical esophageal webs로 인한 dysphagia와 IDA를 동반하는 증후군으로 철분 보충으로 IDA를 교정하면 dysphagia도 대부분 함께 호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