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원인 및 분류
- 용혈빈혈은 3-4가지 다른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원인에 의한 분류: 적혈구 자체 이상, 적혈구 외 요인
- 해부학적인 분류: ① 적혈구 내의 분자적인 결함(혈색소병증, 효소 이상), ② 세포막 구조 및 기능 이상, ③ 기계적 손상 또는 자가항체 같은 환경요인
- 용혈장소에 의한 분류
- 유전성 혹은 후천성
원인에 의한 분류
- 적혈구 내부 원인 : 주로 선천적인 원인
- 적혈구 외부 원인 : 주로 후천적인 원인
| 적혈구 내부 원인 | 적혈구 외부 원인 |
유전성 |
|
|
후천성 |
|
|
용혈 장소에 의한 분류
참고 '[보충] 혈관 내 용혈 vs 혈관 외 용혈' 참고할 것
- 대부분의 용혈빈혈은 혈관 외 용혈 양상을 보인다.
| 혈관 내 용혈(혈관 내부에서 파괴) | 혈관 외 용혈(혈관 외부에서 파괴) |
RBC 외부인자에 의한 용혈빈혈 |
|
|
RBC 막 이상 |
|
|
RBC 내부의 이상 |
|
|
임상양상(공통적인 양상)
- P/E 소견
- 황달, 창백, 비장비대(혈관 외 용혈 시사)
- 검사소견
Hb | 정상~ 심한 감소 |
MCV | 대개 증가 |
망상적혈구수/RPI | 증가 |
혈청 unconjugated bilirubin | 증가 |
혈청 LDH1: LDH2 | 증가 |
혈청 haptoglobin | 감소 |
소변 hemoglobin | 존재 |
소변 hemosiderin | 존재 |
소변 urobilinogen | 증가 |
용혈 질환의 진단 흐름도

DHTR: Delayed haemolytic transfusion reactions
참고자료
- 대한혈액학회. 혈액학 3판(2018). 8장, 9장
- Ucar K.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hemolytic anemias. Oncology (Williston Park, NY) 2002;16(9 Suppl 10):163–70.
- Barcellini W, Fattizzo B. Clinical Applications of Hemolytic Markers in the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