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림프구의 단일클론성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종양 중 호지킨림프종을 제외한 질환
분류 및 분도
- 비호지킨 림프종은 전체 림프종의 약 95% 차지
- 비호지킨 림프종 중 B세포 림프종은 78% 차지
- B세포 림프종 중 가장 흔한 것은 광범위큰B세포림프종인데 비호지킨 림프종의 약 43% 차지
- 국내에서 가장 흔한 비호지킨 림프종(비호지킨림프종 전체 중 비율)
- Diffuse large B-cell lymphoma(42.7%)
-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19%)
- Extranodal NK/T-cell lymphoma, nasal type (6.3%)
- Peripheral T-cell lymphoma, unspecified(6.3%)
Hodgkin lymphoma | 4.5% |
Non-Hodgkin lymphoma | 95.4% |
B-cell lymphoma (78%) |
|
T/NK-cell lymphoma① (22%) |
|
① T세포/NK 세포 림프종은 서구보다는 아시아(국내)에서 더 흔히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 NHL(B-cell NHLs)은 크게 2가지 형태 1) aggressive form, 2) indolent form으로 나눌 수 있다.
Aggressive | Indolent |
|
|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DLBCL), Burkitt lymphoma(BL) | follicular lymphoma(FL), marginal zone lymphoma(MZL), lymphoplasmacytic lymphoma (LPL), hairy cell leukemia (HCL) |
임상양상
- 무통성 림프절 종대가 가장 흔한 양상
- B 증상: 발열, 야간발한, 체중감소(10% 이상)
- 신체검사: 말초림프절 촉진(쇄골상부, 액화, 서혜부, 왈데이어편도환 포함), 전신상태, 피부, 발열, 빈혈, 출혈경향, 간종대/비장종대 유무
진단
진단 및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
- HD와 거의 대동소이. 추가적으로 혈청단백전기영동, 혈청 LDH, 혈청 β2-microglobulin을 시행한다.
|
① 림프형질세포림프종의 단클론 단백을 검사하는 데 유용
② 진행이 빠른 림프종에서 흔히 상승되어 있어 예후인자로 유용
병기결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PET(PET-CT)와 CT입니다.특히 PET(PET-CT)가 가장 좋은 영상검사인데, 대부분의 불화탈산소 포도당(fluorodeoxy-glucose, FDG) 섭취가 높은 림프종에서 치료 전 병기 설정, 치료 도중 또는 치료 후 반응 평가에 매우 유용합니다.
비호지킨림프종의 병기 결정 및 예후 평가
Ann Arbor 병기 분류 체계
- 호지킨병과 마찬가지로 해부학적 병기분류체계인 "Ann Arbor 병기 분류 체계"가 이용되고 있지만 국제 예후인자(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IPI)가 더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비호지킨림프종의 예후 평가
- 비호지킨림프종이 균일하지 않은 집단임을 고려할 때 예후를 반영하는 지표가 필요
- 국제예후지표: ① 연령, 병기, 활동도, 림프절의 병변의 개수, LDH 등의 다섯 가지를 이용하여 만든 예후지표, ② 연령보정지표는 60세 이하 환자의 예후평가에 사용된다.
국제예후지표(international prognosis index)
위험인자 |
| 완전관해(%) | 5년 무병생존율(%) | 5년 생존율(%) |
Adverse factors(age > 60, increased LDH value, performance 2-4, > 1 extranodal disease, Ann Arbor stage III or IV) | ||||
Low | 0 or 1 | 87 | 70 | 73 |
Low intermediate | 2 | 67 | 50 | 51 |
High intermediate | 3 | 55 | 49 | 43 |
High | 4 or 5 | 44 | 40 | 26 |
Age-adjusted index, Age < 60 Adverse factors(increased LDH, performance 2-4, Ann Arbor stage III or IV) | ||||
Low | 0 | 92 | 86 | 83 |
Low intermediate | 1 | 78 | 66 | 69 |
High intermediate | 2 | 57 | 53 | 46 |
High | 3 | 46 | 58 | 32 |
LDH: lactate dehydrogenase
치료
NHL의 각 subtype별로 치료방침이 다르긴 하지만 high grade NHL(aggressive)와 low grade lymphoma(indolent)로 크게 나눠볼 수 있습니다.
| high grade NHL(aggressive) | vs. | low grade lymphoma(indolent) |
|
|
| |
early stage(stage I, II) | combination chemotherapy + rituximab DLBCL: R-CHOP (rituximab,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prednisolone). | localized lymphadenopathy → surgical excision or radiotherapy (완치 가능)
| |
advanced stage(stage III, IV) | R-CHOP / R-bendamustine |
B세포 림프종
광범위큰B세포 림프종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CHOP | 사이클로포스파미이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스테로이드 |
|
R-CHOP① | Rituximab, cyclophosphamide, adriamycin (doxorubicin), vincristine (oncovin), prednisone |
|
① 현재 광범위큰B세포 림프종의 표준 치료는 R-CHOP 병용 요법
번연부림프종(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 Marginal zone B-cell lymphoma(MZL)는 3가지 entity를 포함한다.
- 점막관련림프조직림프절외변연부림프종[extranodal MZL of MALT type (MALT lymphoma)]
- 비장B세포변연부림프종[splenic MZL (SMZL)]
- 림프절번연부림프종[nodal MZL(NMZL)]
- 이 중 가장 흔하고 전체 림프종 중 광범위큰B세포 림프종에 이어 2번째 흔한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MALT lymphoma)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 크게 gastric MALT lymphoma, non-gastric MALT lymphoma로 나눌 수 있다.
gastric MALT lymphoma |
|
Non- gastric MALT lymphoma/H Pylori 제균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gastric MALT lymphoma |
|
NK/T세포 림프종
- 주요 regimens
- SMILE (dexamethasone, methotrexate, ifosfamide, L -asparaginase, etoposide)
- LVP regimen (L -asparaginase, vincristine, prednisolone)
- 2/3DeVIC (dexamethasone, etoposide, ifosfamide, and carboplatin)
- VIPD (etoposide, ifosfamide, cisplatin, and dexamethasone)
CR: complete remission; HSC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T: radiotherapy
참고자료
- 대한혈액학회. 혈액학 3판(2018). 31.2장
- 해리슨 20/e(2018). 104장
- Park B-B. Recently Developed Therapeutic Agents for B-cell Non-Hodgkin Lymphoma.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5;88(3):247.
- Kim JM, Ko YH, Lee SS, et al. WHO Classification of Malignant Lymphomas in Korea: Report of the Third Nationwide Study., WHO Classification of Malignant Lymphomas in Korea: Report of the Third Nationwide Study. The Korean Journal of Pathology, The Korean Journal of Pathology 45(3):254–60.
- Tilly H, Gomes da Silva M, Vitolo U, et al.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Ann Oncol 2015;26 Suppl 5:v116-125.
- Dreyling M, Thieblemont C, Gallamini A, et al. ESMO Consensus conferences: guidelines on malignant lymphoma. part 2: marginal zone lymphoma, mantle cell lymphoma, peripheral T-cell lymphoma. Ann Oncol 2013;24(4):857–77.
- Tse E, Kwong Y-L. How I treat NK/T-cell lymphomas. Blood 2013;121(25):4997–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