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일차 지혈과정 (primary hemostasis)
혈소판 부착 (platelet adhesion)
혈소판 응집 (platelet aggregation)
혈소판의 역할
이차 지혈과정 (Secondary hemostasis)
Fibrinolysis
지혈억제
개요
- 혈관수축
- 1차 지혈 : 혈소판이 모여서 응집하고, fibrinogen이 그 사이를 채워넣어 상처를 메우는 과정
- 2차 지혈 : 트롬빈을 이용하여 fibrinogen을 stable fibrin clot으로 안정화시키는 과정으로 intrinsic/extrinsic pathway와 coagulation factor들이 관여
- 섬유소용해 : plasmin이 fibrin clot을 녹임
일차 지혈과정 (primary hemostasis)
혈소판 부착 (platelet adhesion)
- 혈관손상 후 수 초 내에 혈소판이 혈관 내피세포의 Gp Ia/IIa와 결합
- von Willebrant factor (vWF)는 platelet의 Gp Ib/IX과 collagen fibril을 연결하여 adhesion을 안정화
혈소판 응집 (platelet aggregation)
- 혈소판 활성화 & ADP 등 응집 유발 물질 분비 → GP IIb/IIIa complex 모양이 변화하여 fibrinogen (factor I)과 결합 → hemostatic plug 형성
- 응집 유발 물질 : ADP, epinephrine, TXA2, collagen, thrombin, ristocetin
혈소판의 역할
- 강력한 vasoconstrictor 분비
- 혈관 손상 부위에 adhesion, aggregation & plug 형성
- coagulation factor가 activation되기 위한 surface 제공
이차 지혈과정 (Secondary hemostasis)
응고 1단계 |
※암기팁: 아파트 안에 해파리 : aPTT, intrinsic, heparin
※암기팁: PT는 밖에서(extrinsic)! |
▼ | |
응고 2단계 |
|
▼ | |
응고 3단계 |
|
Fibrinolysis
- Plasminogen이 plasmin으로 활성화→ fibrin, fibrinogen 분해 (fibrin degradation product;FDP 생성)
- 생성된 FDP는 다시 Coagulation을 억제하는 이중 효과
지혈억제
- Antithrombin III (AT III) (m/i) : common and instrinsic pathyway의 응고인자 억제 → Heparin은 antithrombin III 억제 작용을 강화하여 응고를 억제
- Protein C : vitamin K 의존인자의 일종으로 AT III가 작용하는 V, VIII 억제
- Plasminogen activator에 의한 plamin 활성화 촉진
- Protein S : protein C의 cofactor, Vit. K 의존 인자의 일종
3. Thrombomodulin: 내피세포 표면의 Glycoprotein으로 thrombin이 결합하면 혈소판 활성화능력을 감소시키고 protein C를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