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용적감소의 정의와 원인
- 정의 : Salt(Na and Cl) 감소하여 발생하는 세포외용적(ECFV) 의 감소
- Hypovolemia 에 대한 생리적 반응

- Mild 한 Hypovolemia 나 mild한 심박출량의 감소가 있을 때, 콩팥에서 다음의 2가지 보상기전을 통해 GFR을 유지
- renal efferent vasoconstriction : angiotensin II 에 의해
- renal afferent vasodilation : prostaglandins (prostacyclin, prostaglandin E2)
- 신장으로 인한 용적감소와 신장외 원인에 인한 용적감소로 분류할 수 있음

신장에 의한 용적감소
- Osmotic diuresis (삼투성 이뇨) : 내인성 (Glucose와 urea), 외인성 물질(Mannitol)
- Diuretics (이뇨제) : Thiazide
- Mineralcorticoid deficiency/resistance
신장 외 원인에 의한 용적 감소
- GI tract : Vomiting, Diarrhea
- Insensible loss : 고열환자 또는 화상환자의 경우 손실증가, 흡입공기의 습도가 낮은 경우 손실증가
- Distuributive (Sepsis, Pancreatitis, Peritonitis, Nutritional Hypoalbuminemia)
혈관의 투과성 증가 또는 혈관내 교질삼투 감소로 ECF 중 혈관 내부가 아닌 간질내로 물이 이동하면서 발생.
진단
병력(증상, 징후)
- fatigue(weakness), Thirst, Postural dizziness; severe한 경우 oliguria, cyanosis, confusion(obtundation)
신체검진
- skin turgor 감소, dry oral mucous
- JVP 감소, Orthostatic Hypotension/ tachycardia (최소 3분 이상 누운 상태에서 기저의 맥박과 혈압을 측정한 다음, 3분 동안 일어선 자세를 유지하고 맥박과 혈압을 다시 측정. 이때 혈압의 10 mmHg 이상 감소, 맥박의 20/분 이상 증가한 경우, 유의한 것)
- severe한 경우 Hypovolemic shock, peripheral vasoconstriction(hypoperfusion)
검사실 검사
- BUN, Cr증가(BUN/Cr >20:1) hypovolemia의 보상반응으로 GFR감소하므로, Proximal tubule에서 resorption이 증가해서 BUN의 증가가 더 큼.
- Una < 20mM, Uosm>450mOsm/kg, FENa< 1% (비신장성 원인에 의한 Hypovolemia인 경우, 신장 tubule에서 Na, water reabsorption 되므로)
- Urine Chloride <25mM : 신장으로 인한 Hypovolemia의 경우 신장을 통해 Na이 손실되므로 urine Na으로 ECFV를 평가할 수 없음.
치료
- mild hypovolemia : 경구 수분 보충 및 정상 식이
- severe hypovolemia : 정맥 수액 공급 (출혈이나 빈혈 있는 경우 수혈)
- isotonic normal saline : normonatremic or hyponatremic c severe hypovolemia
- hypotonic solution (5% Dextrose) : hypernatremic d/t free water loss
- hypotonic saline : hypernatremic d/t Na and free water loss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P298-302
- Renal Pathophysiology: The Essentials, 4th 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