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태생리
Stenosis → renal blood flow↓ → JG cell에서 renin 분비 → RAAS 활성화
Angiotensin II → vasoconstriction → 혈압 상승
Aldosterone → Hypokalemia/Na, H₂O 재흡수↑
반대쪽 정상 신장 → renal blood flow↑→ 체내의 과다한 Na 배출
콩팥동맥이 좁아지면서 콩팥으로 유입되는 혈액의 압력(perfusion pressure)이 감소하면 콩팥은 생리적으로 압력을 정상화(사구체 여과율을 유지) 하기 위해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RAAS) 이 활성화됩니다. 하지만 RAS 활성화를 통해 콩팥에 걸리는 압력은 유지하기 위해서는 혈압이 상승하는 대가를 치뤄야 합니다. 콩팥 동맥의 협착을 해결하면 고혈압도 호전되기 때문에 콩팥동맥의 협착에 의한 고혈압은 치료 가능한 2차성 고혈압 중 하나입니다.
2차성 고혈압의 가장 흔한 원인은 콩팥질환입니다. 고혈압을 유발하는 콩팥질환 중에서는 콩팥의 실질질환 (eg. 만성신장병)이 가장 흔한 원인이고, 콩팥동맥의 협착이 두번째 흔한 원인입니다.
콩팥동맥의 협착을 가져오는 원인 (X2)
- Atherosclerotic renal a. stenosis disease (가장 흔함)
-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며 (주로 50세 이상의 남성) 관상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 대동맥질환과 관련
- 주로 콩팥 동맥의 proximal에서 발생
- Fibromuscular dysplasia (FMD)
- 젊은 여성 (15~50세)에서 흔히 나타남
- 주로 콩팥동맥의 distal 에서 발생
- angiography에서 염주알 형태 (String of beads)로 나타나는 Medial fibroplasia가 가장 흔함
진단
- 신혈관성 고혈압을 의심할 임상상황
- 적절한 약물요법에도 반응하지 않는 고혈압
- 고혈압과 설명되지 않는 콩팥기능의 저하가 함께 있을 때
- 콩팥 동맥의 협착으로 인해 콩팥기능저하가 동반될 때, 허혈성 신병증(ischemic nephropathy)라고 함.
- ACEi/ARB 투약 이후 혈청 크레아티닌의 상승이 있을 떄
- 양쪽 콩팥의 크기가 다를 때
- Abdominal bruit (high pitched systolic-diastolic)
- 영상 검사
- Renal Doppler(Duplex) US
- 초기선별검사로 많이 이용(단 검사자간 결과 차이가 있음)
- 협착이 있는 부위에서 혈류 속도 증가(>200cm/s이면 60%이상 협착이 있음 시사)
- intrarenal resistance index (RI) : 신장의 viability 예측 가능
- Captopril renography : captopril(ACEi)을 투여하면 Stenosis 있는 콩팥 uptake 감소
- Gadolinium MR angiography : Gadolinium이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 nephrogenic systemic fibrosis (NSF) 유발 가능성 있음
- Contrast enhanced CT angiography : Contrast에 의한 신독성 유발할 수 있음
- Contrast arteriography : Gold standard
- Renal Doppler(Duplex) US
치료
약물 치료
- ACEi, ARB : RAAS 를 억제할 뿐 아니라 혈압을 정상화 위해(단, bilateral renal a. stenosis 에서는 ACEi/ARB 금기)
- Aspirin, Statin
- 금연
Revascularization (PTRA, Stent, Surgical)
이론적으로 보면 콩팥 동맥을 넓혀주기만 하면 고혈압, 콩팥 기능저하가 호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여러 대규모 임상에서 revascularization 성적이 약물치료와 차이가 없었습니다. Revascularization시술의 합병증(renal a. dissection, hemorrhage, atheroembolic disease)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다음의 적응증에 해당될 때만 시술을 고려합니다.
적응증
|
이외에도 Fibromuscular dysplasia 는 revascularization시술에 반응이 좋아서 적응증에 해당합니다.
콩팥 동맥이 넓어져도 고혈압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으며, 현재 넓어졌다고 하더라도 콩팥동맥혈관의 협착의 병력 자체가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인자 이므로 Revascularization 시행 후에도 약물치료는 유지해야합니다.
참고자료
-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th ed. P2164-2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