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증상세균뇨
어떤 경우 치료해야 하나?
- 증상이 없더라도 요배양 검사를 하고 세균뇨가 발견되면 치료가 필요한 경우
근거수준 | 권고수준 | |
임신 초기 | 낮음 | 강함 |
점막출혈이 예상되는 비뇨기과 처치를 받기 전 | 높음 | 강함 |
- 무증상 세균뇨에 대한 선별이나 치료를 권장하지 않는 경우
근거수준 | 권고수준 | |
비임신 여성 | 높음 | 강함 |
양로원 거주 여성 | 높음 | 강함 |
당뇨병이 있는 여성 | 높음 | 강함 |
척수가 손상된 사람 | 낮음 | 강함 |
유치 도뇨관이 있는 사람 | 낮음 | 강함 |
단순 방광염
급성 방광염
항생제 | 투여방법 | 최소 투여 기간 | 근거수준/권고수준 | |
경험적 항생제로 투여 가능 | ||||
Nitrofurantoin monohydrate/macrocrystals | 100 mg bid | 5일 | 근거수준: 높음, 권고수준: 강함 | |
Fosfomycin trometamol | 3 g 단회 | 1일 | 근거수준: 높음, 권고수준: 강함 | |
Pivmecillinam | 400 mg tid | 3일 | 근거수준: 높음, 권고수준: 강함 | |
fluoroquinolone: ciprofloxacin |
| 3일 | 근거수준: 낮음, 권고수준: 강함 | |
Beta-lactam: cephalosporin | Cefpodoxime proxetil | 100 mg bid | 5일 | 근거수준: 매우 낮음, 권고수준: 강함 |
Cefdinir | 100 mg tid | 5일 | ||
Cefcapene pivoxil | 100 mg tid | 5일 | ||
Cefditoren pivoxil | 100 mg tid | 3일 | ||
Cefixime | 400 mg qd 200 mg bid | 3일 | ||
감수성 결과 확인 후 투여 가능 | ||||
Amoxicillin/clavulante | 500/125 mg bid | 7일 |
|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 160/800 mg bid | 3일 |
|
재발성 단순방광염
재발성 요로감염의 치료흐름도

급성 단순 신우신염
- 입원이 필요하지 않은 단순 신우신염
초기 경험적 항생제 | ▶ | 배양검사 결과 확인 후 | ||||||||||||||||||||||||||||||
| 배양검사 결과에서 감수성을 보이는 경구용 항균제 변경 투여(7-14일 투여) fluoroquinolone, TMP/SMX, beta-lactam 항생제 등
|
- 입원이 필요한 신우신염
초기 경험적 항생제 | ▶ | 해열 후 | ||||||||||||||||||||||||||||||
경험적 항생제 정주 투여: 투여기간은 해열이 될 때까지
| 해열이 된 후에는 분리된 원인균에 감수성이 있는 경구용 항생제 또는 내성률이 토대로 결정된 경구용 항생제로 변경하여 투여(근거수준: 낮음, 권고수준: 강함).
|
급성 단순 신우신염의 치료흐름도

복잡 요로감염 - 당뇨병 환자
(복잡 요로감염-당뇨병, 도뇨관 관련은 2016년, 2018년 가이드라인에서 다루지 않아서 2011년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였다.)
- 급성 방광염과 급성 신우신염의 진단은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서와 차이가 없다.
- 기종성 방광염: 방사선 검사상 방광벽에 공기 음영이 보일 때 진단가능
- 기종성 신우신염: 방사선 검사상 신우 또는 신장실질, 또는 신장 주위에 공기 음영이 보일 때 진단가능
복잡 요로감염 - 도뇨관 관련
- 단기 혹은 장기 유치와 무관하게 도뇨관 관련 무증상 세균뇨는 항균요법을 권장하지 않는다.
- 예외: 임신부, 점막출혈이 예상되는 비뇨기 시술 환자
-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이 의심되면 항균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소변배양 검사를 시행할 것
- 도뇨관을 2주 이상 유치한 환자가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이 발생하고 도뇨관의 지속적 유치가 필요하면 증상 완화와 재감염을 줄이기 위해 도뇨관을 교환
- 도뇨관 유치 여부와 무관하게 적절한 항균제로 치료하였을 때 1-2주간의 치료를 권장
참고자료
- Kang C-I, Kim J, Park DW,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Antibiotic Treatment of Community-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fection & Chemotherapy 2018;50(1):67–100.
-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단순요로감염 가이드라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