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베게너 육아종증의 이해
임상양상
상부호흡기 병변 (95%의 환자)
폐의 침범 (85-90%의 환자)
신장의 침범 (77%의 환자)
안과적 문제 (52%의 환자)
피부병변 (46%의 환자)
심장 침범 (8%의 환자)
신경계 증상 (23%의 환자)
검사 소견
진단
치료
베게너 육아종증의 이해
- 또 다른 질병명으로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 상부, 하부 호흡기의 육아종성 혈관염과 사구체 신염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 소동맥과 정맥을 모두 침범 가능, 다양한 정도의 미만성 혈관염이 동반
- 발생빈도 : 드문 질환 10만명에 3명 정도, 백인>흑인, 남녀비 1:1
- 사춘기 이전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평균발생연령 40세
임상양상
- 질병이 활동성일 때 대부분 권태감, 쇠약, 관절통, 식욕저하, 체중감소 등의 비특이적 증상 호소
- 발열은 질병의 활성도 증가를 시사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이차감염 이나 상기도 감염을 반영
상부호흡기 병변 (95%의 환자)
- 부비동의 통증, 화농성/혈액성 분비물±비점막의 궤양
- 비중격 천공으로 안장코
- 유스타키안관이 막혀 장액성 중이염 발생 가능
- 16% 환자에서 질환의 활성화나 반흔으로 성문하협착 → 심한 기도폐쇄
폐의 침범 (85-90%의 환자)
- 무증상의 폐침윤, 기침, 객혈, 호흡곤란, 흉부 불편감
- 폐의 침범은 다발성, 양측성, 결절성, 공동성 침윤이 특징
- 기도내 병변은 무기폐와 기도폐쇄 일으킬 가능성
신장의 침범 (77%의 환자)
-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경미한 사구체염이 단백뇨, 혈뇨, 적혈구 원주와 동반
- 일단 신기능 손상이 발생시 적절한 치료하지 않을 때 빠르게 신부전으로 진행
안과적 문제 (52%의 환자)
- 경한 결막염, 누낭염, 상공막염, 공막염, 육아종성 공막포도막염, 모양체 혈관염, 안검하수증 등
피부병변 (46%의 환자)
- 구진, 소포진, 구진성 자반, 궤양, 피하결절,
- 조직검사상 혈관염, 육아종의 소견
심장 침범 (8%의 환자)
- 심낭염, 관상동맥염, 드물게 심근병증
신경계 증상 (23%의 환자)
- 뇌신경염, 다발성 단신경염, 드물게 뇌혈관염과 육아종
검사 소견
- 적혈구침강속도 상승, 경한 빈혈, 백혈구 증가증, 경한 고감마글로불린 혈증(특히 IgA), 류마티스 인자의 양성
- anti-proteinase-3 ANCA : 활성화된 전형적 베게너 육아종증의 경우 90%의 환자에서 양성 (활성화가 없는 경우 민감도가 60-70%로 감소)
- 일부에서는 오히려 AMP(anti-myeloperoxidase) 증가
진단
- 조직 검사상 괴사성 육아종성 혈관염 소견으로 진단 (폐조직으로 검사 시 진단율 높다)
- 조직학적 특징 : 혈관 내외의 육아종을 동반하는 소동맥과 정맥의 괴사성 혈관염
- 신장 조직검사로 사구체 신염 확인
- anti-proteinase-3 ANCA 양성 : 특이도 높으며 활동성 사구체신염이 있을 경우 의미가 있다. (조직검사를 대신할 수 없고 진단에 보조적)
Muli-nucleated giant cells을 가진 혈관염/육아종(H&E 염색)
치료
- 치료를 하지 않으면 수개월 내에 사망 가능
- 부신피질 호르몬 단독치료 : 일부 증상 호전되나 질병의 경과에는 별 영향없다.
- 부신피질 호르몬 +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 가장 효과적 치료
- 90% 환자에서 증상 호전, 75%환자에서 완전관해, 5년 생존율 80% 이상
- 관해 유지 : 메조트렉세이트(methotrexate) 와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 신기능 저하 환자난 만성 간질환자의 경우 관해유지 대체 약제 : 마이코페놀레이트 (mycophenolate mofetil)
- 리툭시맙(rituximab)유도 치료 : 시험에서 유사한 관해 효과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56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