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념과 역학
골관절염이 침범하는 관절과 침범하지 않는 관절
골관절염이 침범하는 관절
골관절염이 잘 침범하지 않는 관절
골관절염으로 인한 병적 변화
위험 요인
관절의 취약성
전신적 요인
유전적 요인
인종차이
관절 주위 환경 요인
관절의 부하
개념과 역학
- 관절의 기능부전으로 관절의 모든 구조물들이 한꺼번에 병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질환
- 가장 흔한 형태의 관절염
- 유병률은 노인에서 높고, 골관절염과 연관된 장애 발생이 노인에게 많다. (40세 이하에서는 드물고 60세 이상에서는 유병률 증가)
- 중년과 노년에서는 여성에서 훨씬 흔하다
골관절염이 침범하는 관절과 침범하지 않는 관절
골관절염이 침범하는 관절
- cervical & lumbosacral spine, hip, knee, first metatardal phalangeal joint (MTP)
- 손관절도 종종 침범 : distal &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s(DIP&PIP), thum base
골관절염이 잘 침범하지 않는 관절
- 손목, 발꿈치, 발목
골관절염으로 인한 병적 변화
- 초자 관절 연골(hyaline articular cartilage) 소실
- 연골하 골판이 두꺼워지고 경화 동반
- 관절변연부에는 골극이 밖으로 자라고, 관절낭의 신전, 경미한 활막염, 관절을 잇는 근육의 약화 동반
- 무릎에는 연골판의 퇴행동반
- 요약: 초기에 보호기전이 약화된 상태에서 관절 손상이 일어나서 병적 변화가 야기 된다.
위험 요인
- OA 발생에 기여하는 주된 2가지 요소 → 관절의 취약성, 관절의 부하
관절의 취약성
전신적 요인
- 고령 : 나이가 들수록 발생률 급격하게 증가
- 70세 이상 손관절에서 >50% 발생, 그러나 40세 이하에서 드물다
- 여성 : 50대에 달하면 모든 관절에 골관절염의 발생위험 증가 (폐경으로 인한 호르몬 감소와 관련성 추정)
유전적 요인
- OA는 유전성이 강한 질병이지만, 관절 부위에 따라 유전성향이 다름
- 유전성과의 관련 (hand, hip : 50%, knee : 30%, multiple joints : rare)
인종차이
- 인종마다 관절의 해부학적 차이가 인종마다 다른 유병률의 차이를 설명
관절 주위 환경 요인
- 관절의 해부학적 구조 변화 : 예) 선천성 고관절 이형성 등에서 해부학적 기형이 초래되어 골관절염으로 이행
- 외상의 과거력(예. 반월상 연골 절제술)으로 해부학적 이상 초래
- 관절 보호하는 인대 파열이나 연골판 파열
- 관절의 배열이상 : 예) 내반슬, 외반슬 등에서 무릎관절의 국소적 스트레스 증가로 연골 손실
- 주변 근육 약화, 관절의 고유감각 장애, 골 밀도 증가 등
관절의 부하
- 비만 : 걸을때 체중의 3~6배가 한쪽 무릎에 부하되는데, 체중증가는 이러한 부하를 증가시켜 골관절염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킴
- 관절의 반복된 사용: 직업적인 이유나 특정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