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상 양상
관절통은 활동과 연관됨
- 통증은 관절의 사용 도중 혹은 직후에 발생하며 점진적으로 호전됨.
- 진행 될수록 통증은 지속적으로 변하며, 밤에도 통증이 발생한다
- 침범 관절의 강직이 심할 수 있지만 조조강직은 짧다. (<30min)
무릎관절 침범
- 관절 주변 근육의 약화로 힘없이 접히는 현상(buckling)이 나타날 수 있다.
- 45세 이상의 만성적 무릎통증 환자의 가장 흔한 원인이 골관절염
수부의 특징적 소견
- Heberden’s node(DIP) / Bouchard’s node(PIP)
감별 진단
- 조조강직 심하고 다른 다수 관절을 침범하는 경우는 염증성 관절염 의심
- 점액낭염(bursitis) : 무릎이나 고관절 주변에 흔하다.
OA(비염증성 관절염)와 RA(염증성 관절염)의 비교
| OA | RA |
발병 시기 Z | 나이가 들었을 때 | 젊은 성인 |
초기 증상 | 관절을 사용하면서 통증시작, 사용할수록 통증 악화 | 조조강직, 관절 사용할수록 통증 경감 |
주요 침범 관절 | cervical & lumbosacral spine, hip, knee, MTP, DIP&PIP (MCP 드물다) | MCP, PIP, wrist (DIP는 드물다) |
혈액검사 | 정상 | ESR증가, CRP증가, anemia, leukocytosis |
활액 검사 |
|
|
X선 검사 |
|
|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검사실 검사
- 활액검사, 혈액검사
활액 검사
- synovial fluid analysis : 맑고 투명, 점도 정상.
- leukocyte가 >1000/ul이면 inflammatory arthritis 혹은 통풍, 가성통풍 가능성 (통풍, 가성통풍은 crystal의 유무로 감별이 가능)
혈액검사
- 염증성 관절염이 의심되는 경우가 아니면 OA환자에서 필요없다.
- ESR, CBC, U/A등은 보통 정상이며, RF는 음성이다
방사선 검사
- 관절의 퇴행성 변화 : 일상생활의 반복적 미세 외상으로 인한 관절연골 손상으로 퇴행성 변화
- 방사선 검사 시행해야하는 경우
- 무릎 통증에 대해서 증상과 징후가 골관절염에 맞지 않을 때
- 적절한 치료에 증상 호전이 없을 때
단순 X-ray 소견
- 검사소견
- Joint space narrowing (irregular)
- Subchondral bone sclerosis, subchondral cyst
- Osteophytosis
- 주의점
- OA에서 방사선 소견은 통증의 존재와 통증 정도와 잘 맞지 않는다.
- 연골 소실이나 다른 초기 변화들이 방사선 소견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 방사선 소견은 질환 초기에 정상일 수 있다.
MRI
- 진단적 검사를 위해 이용하지 않는다.
- 더 많은 병리소견을 발견할 수 있으나 치료 방향에 변화를 주는 근거는 되지 못하므로 진단에 효과적이지 않다.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64장
- Koh SH. Imaging of Arthriti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2;83(2):17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