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섬유근육통의 이해(Fibromyalgia, FM)
임상증상
통증/압통
신경정신 증상
중복 증후군과 동반 증상들
사회심리적인 요소
기능장애
진단
검사실검사와 방사선소견
진단기준 (1990년, ACR)
치료
비약물치료
약물치료
섬유근육통의 이해(Fibromyalgia, FM)
- 만성적인 전신성 근골격계 통증과 압통점이 특징인 질환
- 9:1의 비율로 여자에서 호발,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 보임
- 통증 증후군이지만 다양한 신경정신학적 증상들을 호소 : 피로, 수면장애, 인지장애, 불안, 우울
- laboratory test, 방사선소견은 모두 정상
임상증상
통증/압통
- 가장 흔한 증상 : 온몸이 아프다
- 통증은 허리를 중심으로 상하 좌우에 퍼져있고 척추부위에도 있다. : 정확하게 통증의 위치를 알아내기 어렵고, 통증의 정도는 무시하기 어려울 정도이며, 기능저하를 초래한다.
- 통증은 최소 3개월간 거의 날마다, 그리고 하루의 대부분 지속되어야 한다.
- 압통점 검사 : 엄지손가락으로 약 4 kg/m2의 압력(엄지손톱 끝이 하얗게 변할 때까지)으로 해당부위를 누르면 된다.
- 진단 : 18부위 가운데 11부위 이상에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신경정신 증상
- 전신 통증 외에 피로, 강직감, 수면장애, 인지장애, 불안, 우울 호소
중복 증후군과 동반 증상들
- 만성 통증이 있는 다른 질환과 중복될 수 있음
- 근막통증 증후군, 관절염, 내부장기의 통증 등도 종종 동반 됨.
- 유병율이 전체 인구의 2-5%에서 존재하지만, 퇴행성 질환 또는 염증성 류마티스 질환이 있으면 20%이상에서 나타남
- 종종 만성 근골격계질환, 감염병, 대사질환, 또는 정신 질환과 동반
- 이러한 질환에서 통증이 동반될 때 설명하기 힘든 통증, 신경정신 증상 또는 신체검사에서 압통점이 존재하면 섬유근육통 진단
사회심리적인 요소
- 스트레스가 많을 때 증상이 새로 발생하거나 악화된다.
기능장애
-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을 포함한 영역에서 기능개선이 치료의 성공을 판단하는 척도
진단
검사실검사와 방사선소견
- 검사실 검사와 방사선 촬영에서 정상소견 : 다른 질환 감별하기 위해 시행
진단기준 (1990년, ACR)
- 3개월 이상 지속되는 widespread musculoskeletal pain
- 18개의 tender point sites중 11개이상에서 압통 발생 (압통은 연속적이라서 정확하게 나누기가 쉽지 않으므로 압통점을 엄격하게 적용할 필요는 없다)
※ 2010년에 새로 발표된 기준: 압통점 검사를 배제시키고 전신통증과 신경정신 증상으로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다.
치료
- 섬유근육통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면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섬유근육통의 증상과 영향은 치료로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 환자와 동반자관계 형성하고 치료전략을 이해시키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적절한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를 선택하도록 돕는다.
비약물치료
통증제거에 초점을 두지말고 신체기능과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데 집중
- 유산소운동 : 낮은강도에서 천천히 시작, 꾸준히
- 근력강화운동 : 유산소운동이 어느 정도 가능해지면 시작
- 인지행동치료 : 수면위생 개선, 병적 행동 감소
약물치료
- 항우울제
- 가장 효과적, 취침 전 low-dose TCA가 초치료로 추천.
- amitriptyline, duloxetine, milnacipran
- 항뇌전증제: Ca2+ channel alpha-2-delta ligands
gabapentin, pregabalin - 주의할 약물
- NSAIDs, glucocorticoids : 섬유근육통에는 효과 없다 (염증성 유발원인의 치료에 쓰는 약제들)
- 마약성진통제는 금기 : opioid-induced hyperalgesia(아편유사제 유발 통각과민)로 인해 증상 악화가능
- 하나의 약제로 여러 증상을 조절하는 것을 권장
※ 처방예1) 통증과 수면장애가 주된 증상 → 진통효과와 수면유도 효과가 동시에 있는 약제
- amitriptyline(진정작용 있는 항우울제), or gabapentin, pregabalin
※처방예2) 통증과 피로,불안,우울이 있는 환자 → 진통효과와 항불안/항우울 효과가 있는 약제
- duloxetine, milnacipran
참고: 2010년 ACR 예비 진단기준 (참고용)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fibromyalgia(FM)로 진단
A~D 0=문제없음, 1=약간 불편, 경증or간헐적, 2=상당히 불편, 중등도 and/or 흔히 발생, 3=매우 불편, 중증, 지속적 D 아래 41가지 중 존재 개수에 따라 점수 결정 0=no(0), 1=few(1~10), 2=moderate(11~24), 3=great deal(>=25) 근육통, 과민대장증후군, 피로, 사고/기억장애, 근육허약, 두통, 복통/경련, 저림, 어지러움, 불면, 우울, 변비, 상복부통, 오심, 신경과면, 흉통, 흐린시력, 발열, 설사, 입마름, 두드러기, 귀울림, 구토, 속쓰림, 구강궤양, 입맛변화/소실, 멍잘듦, 탈모, 빈뇨, 배뇨통, 방광연축 등 2. 비슷한 정도의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 3. 통증을 유발할만한 다른 질환이 없다. |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66장
- 이신석. 섬유근통 증후군의 새로운 진단기준과 임상적 의의. 대한류마티스학회지 2011;18(3):153-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