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단비대증(Acromegaly): 진단


목차

뇌하수체로부터의 성장호르몬 분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발병 연령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뼈끝선이 폐쇄되기 전에 발병하는 것

(성장기가 끝나기 전)

 뼈끝선이 폐쇄된 후에 발병하는 것

뇌하수체거인증(gigantism)

말단비대증(acromegaly)

 

 


원인

  • 일반적으로 뇌하수체 선종이 원인
  • 대부분 macroadenoma (cf. 쿠싱병, 프로락틴 분비종양은 대부분 microadenoma)
  • mixed tumor가 흔함: mixed mammosomatotrope tumors/acidophilic stem-cell adenomas → GH + prolactin(PRL) 동시 분비

 

 


증상

  • 성장호르몬 과분비에 의해 나타나는 다양한 임상적 현상은 대부분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고 서서히 진행되며 종종 10년 이상 진단되지 않을 수 있다. 

 

특징적인 증상: 말단 부위 골격의 과성장 + 연부조직 팽창

말단 부위 골격의 과성장(acral bony overgrowth)

+

연부조직 팽창(soft tissue swelling)

  • 이마뼈 돌출
  • 손발 크기의 증가
  • 턱나옴증을 동반한 아래턱의 비대
  • 아래 앞니 간격의 벌어짐 
  • 긴 뼈의 골단이 닫히기 전에 성장호르몬의 과분비가 시작되는 아이와 청소년에서는 뇌하수체성 거인증이 발생
  • 발바닥이 두꺼워짐
  • 신발과 장갑 및 반지의 크기가 맞지 않게 됨
  • 특징적인 조악한 얼굴 모양과 크고 살집이 좋은 코로 변형

 

다른 흔한 증상 

  • 다한증 / 깊고 울리는 목소리 / 지성피부 / 관절증 / 척주후만증 / 손목굴증후군, / 근위부 근쇠약 / 피로 / 흑색가시세포증 / 피부 폴립 등

 

전신적인 장기의 비대

  • 심장비대 
  • 큰혀증(macroglossia) 
  • 갑상선비대 등

 

관련 질환 및 합병증

  • 심혈관계(가장 중요한 합병증): GH excess로 인한 주요 사망원인
    • 관상동맥 심장질환, 부정맥을 통반한 심근병증, 좌심실비대, 이완기능의 감소, 고혈압 등
    • 위의 증상들이 치료를 하지 않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나타남
  • 후두부 연부조직의 부종으로 인한 수면 무호흡을 동반한 상기도의 폐쇄(60%에서 발생) →중추성 수면장애 야기
  • 당뇨병(25%): 대부분의 환자는 당불내성을 보인다.
  • 대장용종(colon polyp)/대장암 발생 빈도 증가: 대장 용종은 1/3에서 발견

 

  • 심혈관 질환과 뇌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으로 총 사망률이 3배 정도 증가
  • 성장호르몬 농도가 조절되지 않는다면 정상인보다 10년 정도 기대수명이 짧아짐
  • 말단비대증 환자의 가장 중요한 사망 원인은 심혈관계 기능이상(cardiovascular dysfunction)이다.

증례에서 전형적으로 묘사되는 특징은 '턱과 이마 돌출증, 손발이 커지고 굵어져서 반지를 끼지 못함, 고혈압' 등입니다.

 

이미지



 

진단적 검사

선별검사

IGF-I 농도 측정

  • 말단비대증 환자에서 IGF-I 농도는 같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 

Cf. GH의 박동성 분비(pulsatile secretion)로 인해 GH을 무작위 검사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IGF-I 농도가 정상 수치이면 acromegaly를 배제할 수 있습니다.

확진 검사

75 g 경구 당부하 검사

  • 75 g의 경구 당부하 1~2시간 후에 GH이 0.4 μg/L 미만으로 억제되지 않으면 확진
  • 정상 GH 최저값은 0.05 μg/L 미만
  • 말단비대증 환자의 25%는 프로락틴 농도가 상승해 있으므로 반드시 같이 측정

병변 탐색

MRI 검사 → 종괴가 있다면 GH-secreting tumor

 

Cf. Paradoxical GH response

  • TRH, GnRH에 의해 GH↑(정상인에서는 반응X)
  • dopamine(L-dopa) 혹은 dopamine agonist(bromocriptin) 투여 시 GH↓): ① 정상인에서는 GH↑ ② 해당 특성을 치료에 이용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73장
  • Katznelson L, Laws ER, Melmed S, et al. Acromegal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4;99(11):3933–51.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