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신 중의 hyperthyroidism
갑상샘중독발증(Thyrotoxic crisis)
유발인자
치료
Thyrotoxic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진단
치료
임신 중의 hyperthyroidism
- 항갑상선제(PTU)가 원칙! → 조절 안 되면 2nd trimester에 수술
- Antithyroid drug (PTU)
- PTU가 methimazole보다 좋다!
- 용량은 1/2~1/3로 줄여서 투여 (가능한 low dose로)
- 치료목표 : fT4를 정상의 상한, TSH는 정상의 하한으로 유지
- 수술
- 금기: Radioactive iodine, Lugol’s solution, β–blocker
갑상샘중독발증(Thyrotoxic crisis)
- 갑상선중독증이 극도로 악화되어 나타나는 임상증후군
유발인자
- 감염
- 수술: 갑상선절제술 또는 전신마취하의 다른 수술
- 외상
- 저혈당
- 정신적 스트레스
- 방사성요오드치료
- 당뇨병성 케톤산증
- 폐동맥전색
- 뇌혈관장애
- 급성심근병증
치료
- Large doses of PTU
- Lugol’s solution, or radio-contrast (ipodate or iopanoic acid): thyroid hormone 합성 방해
- Propranolol: reduce tachycardia and other adrenergic manifestations
- 그 외 glucocorticoids, antibiotics 등
- 금기: Radioactive iodine, Aspirin
Thyrotoxic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 Thyrotoxicosis 환자의 약 10%에서 발생/동양인에서 흔함, 대부분 남성에서 발생
- 하지의 paralysis, weakness 반복, 저절로 회복 (감각소실이나 의식장애는 없음)
- 유발요인 (∵ insulin↑ → 갑자기 K⁺가 세포 내로 들어감①)
: 고탄수화물 섭취, 알코올, 아주 심한 운동/일
① Glucose가 세포 내로 운반될 때 함께 운반된다.
진단
- 갑상샘 기능 검사, 혈청전해질 검사 (serum K level)
- 이런 임상 양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serum K level이 낮을 때 TFT를 시행!
치료
- 급성 발병시 : KCl투여
- 갑상샘 기능항진증의 교정 → 예방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