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적으로 아급성 육아종 갑상샘염과 아급성 림프구 갑상샘염이 있다.
- 그레이브스병과 더불어 갑상샘중독증(thyrotoxicosis) 양상을 보인다.
갑상샘중독양상을 보이는 경우 감별진단
소견 | 아급성 육아종 갑상샘염 | 아급성 림프구 갑상샘염 | 그레이브스병 | |
무통성 갑상샘염 | 산후갑상샘염 | |||
목 통증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최근 상기도감염 병력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전신증상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최근 임신력 | 아니오 | 아니오 | 예 | 아니오 |
갑상샘 증상 | 예 | 예 | 예 | 예 |
ESR | 상승 | 정상 | 정상 | 정상 |
CRP | 상승 | 정상 | 정상 | 정상 |
TSH | -/Nl | -/Nl | -/Nl | 억제 |
FT4 | -/Nl | -/Nl | -/Nl | Nl/ |
TT3 | -/Nl | -/Nl | -/Nl | Nl/ |
T3/T4 | < 20 | < 20 | < 20 | > 20 |
Thyroglobulin | 상승 | 상승 | 상승 | 상승 |
TPO-ab | 음성 | +/-, Pos | +/-, Pos | +/-, Pos |
Tg-ab | 음성 | +/-, Pos | +/-, Pos | +/-, Pos |
TSHR-ab | 음성 | 음성 | 음성 | 양성 |
RAIU/Scan | Low/Not visible | Low/Not visible | Low/Not visible | High/diffuse |
초음파: Echo-genicity | Hypo-echoic | Hypo-echoic | Hypo-echoic | Hypo-echoic |
초음파: Vascularity | 감소 | 감소 | 감소 | 증가 |
아급성 육아종 갑상샘염
아급성 육아종 갑상샘염[Subacute granulomatous thyroiditis]이란?
- 동의어: de Quervain's thyroiditis, 바이러스 갑상샘염(viral thyroiditis), 거대세포 갑상샘염(giant cell thyroiditis), 통증 갑상샘염(painful thyroiditis)
- 갑상샘여포의 파괴와 염증성 침윤이 특징적
- 아급성 림프구갑상샘염과의 비교: 병인이나 조직학적 소견은 상이, 갑상샘기능의 변화는 유사
병태생리
- 여포 파괴 → Tg, 갑상샘호르몬 유리 → T4, T3 증가, TSH 억제 → 갑상샘에 저장되었던 갑상샘호르몬 고갈 → 갑상샘 기능저하증(low unbound T4, moderately increased TSH levels)
- 이후 질환이 호전되면 갑상샘호르몬과 갑상샘자극호르몬은 정상으로 회복된다.
임상양상
- 바이러스 감염(URI, 감기) 1~3주 뒤에 발생
- 주로 압통이 심하고, 갑상샘이 커지며 때로 발열 동반
- 심한 전경부 통증 : 아래턱, 귀로 방사, 삼킴시 악화
- 갑상샘 종대 : 비교적 견고하고 딱딱, 압통이 매우 심함!
- 경과: self-limiting course!①. 질환의 경과에 따라 갑상샘중독증이나 갑상샘 기능저하증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 transient thyrotoxic Sx. (‘파괴성 갑상샘중독증’) - 3~6주
: palpitation, fever, sweating, weight loss - transient hypothyroidism : 6~8주
- 회복기 : 6~12개월 후 갑상샘 기능 정상화
- transient thyrotoxic Sx. (‘파괴성 갑상샘중독증’) - 3~6주
① 완전관해가 흔하지만 갑상샘 자가면역 질환이 동반된 환자에게는 갑상샘기능저하증을 영구적으로 초래할 수 있다.
진단적 검사
검사실 검사
- 초기에 ESR↑↑… 무통성 갑상샘염과 DDx.
- 초기에 T3↑, T4↑, thyroglobulin↑, TSH↓, IL-6↑
(→ 나중에 hypothyroidism 시기엔 T4↓, TSH↑)
- Anti–TPO Ab (-)
RAIU↓↓ (thyroid scan 상 안보임)… Graves’dz.와 DDx.
갑상샘중독 양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radioactive iodine uptake (RAIU)를 통한 감별진단
Normal to 123-I RAIU | Near absent 123-I RAIU |
Graves’ disease | Painless (silent) thyroiditis |
Toxic multinodular goiter | Amiodarone-induced thyroiditis |
Toxic solitary nodule | Subacute (painful) thyroiditis |
Trophoblastic (hCG mediated) disease | Iatrogenic or factitious thyrotoxicosis |
TSH-producing pituitary tumor | Ectopic tissue (S. Ovarii, functional cancer) |
Thyroid hormone resistance | Acute thyroiditis |
치료: 대증적
- Analgesics : aspirin (DOC), NSAIDs
- Glucocorticoid : 치료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환자의 국소 및 전신적 증상이 심한 경우
- 갑상샘 중독증: 자연히 개선되나 베타 차단제가 도움이 된다. 항갑상샘 약제는 필요하지 않다.
- 갑상샘기능저하증
- 기능저하증 기간이 길어지면 소량의 L–thyroxine
- 갑상샘자극호르몬에 의한 기능을 회복하도록 적은 용량을 적절히 사용한다(하루 50~100 μg).
※ 금기 : antithyroid drug, radioactive iodine → hypothyroidism 유발
아급성 림프구 갑상샘염
아급성 림프구성 갑상샘염(Subacute lymphocytic thyroiditis)이란?
- 동의어: 무통성 갑상샘염(painless thyroiditis, silent thyroiditis), 산후갑상샘염(postpartum thyroiditis)
임상양상
- 갑상샘 통증이 없는 점을 제외하고는 subacute thyroiditis와 비슷
- 대개 산후 3~6개월 뒤 mild thyrotoxicosis Sx.으로 시작
- Thyroid : nontender, firm, symmetric, slightly/moderately enlarged

검사소견
- T4↑, T3↑, T3-RU↑, TSH↓ (→ 회복기에는 T4↓, T3↓, TSH↑)
- RAIU↓↓… Graves’dz.와 DDx.
- ESR : 대부분 정상 subacute thyroiditis와 DDx.
- Anti-TPO Ab (+) : 자가면역 질환의 하나로 이해되고 있음
치료
- 경과관찰 (observation) self-limiting course!
- 대증요법 (thyrotoxic state 때만) : propranolol, aspirin, mild sedation (steroid는 필요 없다!)
※ 다음 출산 후에도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
참고자료
- 대한내분비학회. 내분비대사학, 2nd, 2011. p188-192
- Hennessey JV. Subacute Thyroiditis [Internet]. In: De Groot LJ, Chrousos G, Dungan K, et al., editors. Endotext. South Dartmouth (MA): MDText.com, Inc.; 2000 [cited 2016 Dec 2].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nih.gov/books/NBK279084/
- Sweeney LB, Stewart C, Gaitonde DY. Thyroiditis: an integrated approach. Am Fam Physician 2014;90(6):389–96.
- Akamizu T. Postpartum Thyroiditis [Internet]. In: De Groot LJ, Chrousos G, Dungan K, et al., editors. Endotext. South Dartmouth (MA): MDText.com, Inc.; 2000 [cited 2016 Dec 2].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nih.gov/books/NBK278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