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갑상샘분화암(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의 치료
수술적 치료
국내 가이드라인(2016년)
미국갑상샘학회 가이드라인(2015년)
수술 후 치료
TSH suppression therapy (L-thyroxine 투여)
방사성 요오드 치료(Radioablation, ¹³¹I therapy)
Follow-up : 재발 혹은 전이를 발견하기 위해
갑상샘 분화암의 예후
수질암(Medullary thyroid cancer)
치료
치료 후 추적관찰
역형성암 (Anaplastic thyroid cancer)
치료
갑상샘수술의 합병증
되돌이후두신경 손상(Recurrent laryngeal nerve)
상후두신경 외측 분지의 손상(Superior laryngeal nerve injury)
부갑상샘기능저하증
기본적 치료 원칙은 우선 수술! Post Op. Tx.로 ¹³¹I ablation을 하여 미세한 잔여 암세포나 원격 전이를 제거하고, L-thyroxine 약제요법으로 TSH를 supression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방지하는 치료를 병행한다.
갑상샘분화암(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의 치료
수술적 치료
- 갑상샘 유두암을 포함한 갑상샘분화암은 전이유무와 상관없이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 (near) total thyroidectomy ± lymph node dissection
국내 가이드라인(2016년)
갑상샘 절제술 | ± | 림프절 절제술 |
|
|
미국갑상샘학회 가이드라인(2015년)
전절제를 해야 되는 경우 | 미세암이라도 근전절제(near total)나 전절제술(total)이 고려되는 경우 |
그러나 1cm 이하의 미세암이고 혈관 침윤이 없으면 더 이상의 수술은 필요 없다. |
|
수술 후 치료
TSH suppression therapy (L-thyroxine 투여)
- 갑상샘분화암은 세포막에 TSH 수용체를 가지고 있고, TSH 자극에 반응하여 세포성장이 증가한다.
- 생리적 용량 이상의 고용량의 갑상샘호르몬제(LT 4 )를 투여하여 TSH 분비를 억제하여 갑상샘암의 재발률을 감소시킨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Radioablation, ¹³¹I therapy)
- 남아있는 정상 갑상샘 조직을 제거하고 미세하게 남아있는 갑상샘암을 제거할 때 사용
→ 갑상샘글로불린(Tg)과 방사성 요오드 스캔의 장기 추적관찰 활용 가능

Follow-up : 재발 혹은 전이를 발견하기 위해
- 추적 관찰시 재발 및 전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①
- ¹³¹I whole-body scanning : 수술과 ¹³¹I ablation 6개월 뒤에 시행
- serum thyroglobulin (TG)
① TSH suppression 중지 후 TSH가 상승했을 때 TG 측정 및 ¹³¹I whole body scan 시행
- 재발 시 ¹³¹I ablation
갑상샘 분화암의 예후
- AGES, AMES, MACIS 등 다양한 scoring system 존재
- AGES: 나이, 분화도, 갑상샘의 침윤, 크기
- AMES: 나이, 원격 전이, 갑상샘의 침윤, 크기
- MACIS: 원격 전이, 나이, 수술의 완전성, 침습성, 크기
- TNM: 원발종양, 림프절, 전이
- 대략적으로 나이 (남>40세, 여>50세), 남성, 원격전이, 주위 조직 침범 (capsular invasion), 종양크기 (>4cm) 인 경우 예후가 나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진단 시 연령 |
|
성별 |
|
종양의 조직형 |
|
종양의 크기 |
|
림프절 전이 |
|
갑상샘 피막 및 갑상샘외 침범 |
|
원격 전이 |
|
- 재발 위험도에 따라 환자를 다음과 분류하고 있다.(대한갑상선학회 권고안 2016)
저위험군 |
|
중간위험군 |
|
고위험군 |
|
수질암(Medullary thyroid cancer)
치료
- 수술만이 효과적
- total thyroidectomy + Lymph node dissection ± chemo/RTx
- RET oncogene, MEN 등과 관련 → 조기에 예방적 갑상샘 절제술 시행
- ¹³¹I therapy에 반응하지 않는다.
- MTC 환자의 가족이나 MEN-Ⅱ 환자는 screening 필요 (RET, calcitonin)
→ RET mutation이 있거나 calcitonin이 증가되어 있으면 가능한 조기에 pro-phylactic thyroidectomy 시행
치료 후 추적관찰
- 수술 후 잔존암의 평가를 위해 혈청 칼시토닌과 CEA 농도를 측정한다.
- 혈청 칼시토닌 농도가 높은 경우 경부에 잔존하는 절제가능한 병변이나 원격전이의 존재를 찾기 위한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역형성암 (Anaplastic thyroid cancer)
치료
- local resection + palliative RTx
- ¹³¹I therapy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Chemo/RTx에도 큰 효과 없음)
갑상샘수술의 합병증
되돌이후두신경 손상(Recurrent laryngeal nerve)
- 되돌이후두신경은 후두의 Inrinsic muscle들에 분포해 목소리를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손상 시 쉰소리hoarseness
- 좌우되돌이 후두신경이 모두 손상되어 양측성대가 모두 마비된 경우 좌우 성대 사이의 간격이 좁은 상태에서 고정되면 호흡곤란이 오게 된다.
상후두신경 외측 분지의 손상(Superior laryngeal nerve injury)
- 일상적 대화에는 큰 이상이 없으나 고음의 장애가 오고, 발성이 오랜 시간 유지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 갑상샘의 superior pole을 처리할 때 손상되기 쉬우며 일단 손상을 받으면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다.
부갑상샘기능저하증
- 갑상샘 절제 후 혈중 칼슘 저하는 흔히 경험하게 되며 부갑상샘에 직접적 손상은 없더라도 수술 시 혈액의 희석 둥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칼슘 저하는 오게되나 그 정도는 미약하다.
- 임상적으로 혈중 칼슘이 정상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는 대부분 부갑상샘 손상 때문이다①.
- 갑상샘 수술 시 부갑상샘이 같이 제거되거나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혈관이 차단되어 허혈이 있을 때 부갑상샘 손상이 발생한다.
① 부갑상샘이 두 개 이상 정상 보존되면 저칼슘혈증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한 개가 남아 있어도 혈류만 잘 유지되면 저칼슘혈증 빈도는 낮아진다.
과거에는 갑상샘수술이 부갑상샘 손상의 주요 원인이었으나, 최근에는 수술법의 발달로 오히려 hyperparathyroidism이 부갑상샘 손상의 주원인입니다.
- 부갑상샘이 정상적으로 보존되지 못하여 영구적 칼슘 저하가 오게되면 경구 칼슘제와 비타민 D를 평생 복용해야 한다.
참고자료
- Yi KH, Lee EK, Kang H-C, et al. 2016 Revised Korean Thyroid Associa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Thyroid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2016;9(2):59.
- Haugen BR, Alexander EK, Bible KC, Doherty GM, Mandel SJ, Nikiforov YE, et al. 2015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adult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e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Guidelines Task Force on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yroid 2016;26(1):1-133.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 2판(2017). p1310 -1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