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술
- 선종에 의한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은 수술적 제거로 치료 가능.
- 알도스테론증이 확인되고 병변이 일측성인 40세 미만의 환자는 수술
- AVS로 병변이 일측성으로 확인되면 수술
약물치료
- 수술이 적합하지 않은 환자와 CT와 AVS에서 양측성 부신 증식(bilateral adrenal hyperplasia)이 증명되면 약물치료 한다.
- 수술하는 경우도 수술 후 저알도스테론증(postsurgical hypoaldosteronism)을 피하기 위해 수술에 앞서 약물치료(스피로놀락톤)를 시행
- 수술을 받지 않고도 식염 제한과 알도스테론 길항제인 spironolactone의 투여도 많은 경우에서 효과가 있다.
Spironolactone
- 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로 작용
- 부작용으로 menstrual irregularity, decreased libido, gynecomastia가 있다.
Eplerenone(에플리레논)
- 좀 더 선택적 작용을 하지만 효과가 약하다.
Amiloride(아밀로라이드)
- 나트륨 통로 차단제
Dexamethasone: (덱사메타손)
- Glucocorticoid-remediable aldosteronism (GRA)인 경우나 특발성 양측성 부신 증식증이 의심이 되는 경우
- 부신형태는 정상이나 조기 발생한 고혈압이나 중증 고혈압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에서 GRA진단을 고려
- 혈압조절을 위한 최소 용량 사용 (0.125~0.5mg/d)
- 추가적으로 광물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가 필요할 수 있다.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79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