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상영양요법
운동요법
원칙
운동처방
유산소운동
운동 강도
운동 빈도
운동 종류
저항성 운동
운동 빈도
운동 종류
위험인자 및 동반질환 관리
금연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평가 및 치료
비만 관리
그 외 관리 이슈
백신접종
인플루엔자
폐렴사슬알균
대상포진백신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임상영양요법
|
총에너지 |
|
탄수화물 |
|
단백질 |
|
지방 |
|
나트륨 |
|
식이섬유 |
|
비타민/미네랄 |
|
음주/알코올 |
|
인공감미료 |
|
운동요법
원칙
- 가급적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을 줄인다. [C, IIb]
- 필요시 운동전문가에게 운동처방을 의뢰할 수 있다. [E, IIb]
- 운동 전후의 혈당변화를 알 수 있도록 혈당을 측정하고, 저혈당 예방을 위해 약제를 감량하거나 운동 전 간식을 먹을 수 있다. [E, IIb]
- 심한 당뇨병성망막병증이 있는 경우 망막출혈이나 망막박리의 위험이 높으므로 고강도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E, IIb]
운동처방
-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판단되는 당뇨병환자는 운동 시작 전에 전문의에게 운동처방을 의뢰하는 것이 좋다.
- 인슐린이나 인슐린분비촉진제를 사용하는 경우 운동 전후의 혈당 변화를 알 수 있도록 혈당 측정을 시행하고 저혈당의 예방을 위해 적절하게 약제를 감량하거나 간식을 추가하 는 것이 좋다.
- 심한 당뇨병성망막병증이 있는 경우 망막출혈이나 망막박리의 위험이 높으므로 고강도 유산소운동과 저항성운동은 주의하는 것이 좋다.
유산소운동
운동 강도
- 일주일에 150분의 중강도 강도
운동 빈도
- 일주일에 적어도 3일 이상 실시
- 연속해서 이틀 이상 쉬지 않도록 한다.
운동 종류
- 걷기, 자전거 타기, 조깅, 수영 등
저항성 운동
운동 빈도
- 금기 사항이 없는 한 일주일에 2회 이상의 저항성운동을 실시한다.
- 1회의 저항성 운동은 대근육군을 포함하여 점진적으로 8-10회 반복이 가능한 정도의 무게로 세 차례 반복 실시한다.
운동 종류
- 근력을 이용하여 무게나 저항력에 대항하는 운동으로 장비를 이용한 웨이트 트레이닝 등
위험인자 및 동반질환 관리
금연
- 모든 당뇨병환자에게 금연을 강력히 권고한다. [A]
- 당뇨병환자에게 금연상담과 금연을 위한 다른 형태의 치료를 포함시킨다. [B]
- 금연의지가 있으면 원하는 방법을 평가하여 금연상담을 시작한다. 금연의지가 없으면 금연의 필요성, 흡연의 위험성, 금연독려 특별프로그램을 시작하고 각각 적절한 약물치료를 시행한다.[B]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평가 및 치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평가[A, I] |
|
▼
선별검사 시행 | 관상동맥질환 선별검사 |
|
말초혈관질환 선별검사 |
|
▼
심혈관질환 치료 |
|
비만 관리
목표 | 비만한 당뇨병환자는 치료 전 체중의 5-10% 감량 [A, I] | |
▼ | ||
치료 | 약물 치료 |
|
수술 |
|
그 외 관리 이슈
백신접종

인플루엔자
- 6개월 이상 연령의 모든 당뇨병환자는 매년 10월부터 12월 사이에 인플루엔자 백신접종을 해야한다.
폐렴사슬알균
- 18-64세 당뇨병환자: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우선적으로 접종하고,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접종할 수 없다면 23가 다당류 백신을 접종한다.
- 65세 이상 당뇨병환자
- 과거에 어떤 종류의 폐렴사슬알균 백신도 접종한 적이 없는 경우 :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먼저 접종하고 6-12개월이 지난 후에 23가 다당류 백신을 접종한다.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과 23가 다당류 백신의 동시접종은 피해야 하며 최소 8주 이상 간격을 두어야 한다.
- 과거에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접종 받은 경우 : 13가 단백결합 백신의 재접종은 필요하지 않으며 23가 다당류 백신으로 1회에 한하여 추가 접종한다.
- 과거에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접종 받지 않았으나 23가 다당류 백신을 접종 받은 경우
- 65세 이전에 23가 다당류 백신을 접종받은 경우 : 13가 단백결합 백신은 과거 23가 다당류 백신접종으로부터 1년 이상 간격을 두고 접종해야 한다. 23가 다당류 백신을 1회에 한하여 재접종하며 과거 23가 다당류백신 접종으로부터 5년 이상, 13가 단백결합 백신접종으로부터 6-12개월(최소 8주이상) 간격을 두고 재접종해야 한다.
- 65세 이후에 23가 다당류 백신을 접종 받은 경우 : 과거 23가 다당류백신 접종으로부터 1년 이상 간격을 두고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접종한다. 23가 다당류 백신의 추가 접종은 권고하지 않는다.
- 당뇨병환자 중 만성 신부전, 신증후군, 면역저하자, 무비증 등을 동반하는 경우
- 폐렴사슬알균 백신도 접종력이 없는 경우 :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먼저 접종하고 최소 8주가 지난 후에 23가 다당류 백신을 접종한다.
- 23가 다당류 백신을 1회 접종받은 경우 : 23가 다당류 백신접종 후 최소 1년 이상 간격을 두고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접종한다.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 후 최소 8주 경과하였고 23가 다당류백신 접종 후 5년 이상 경과하였다면 23가 다당류 백신을 접종한다.
- 23가 다당류 백신을 2회 접종한 경우 : 마지막 접종 후 최소 1년 경과한 시점에서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1회 접종한다.
대상포진백신
- 당뇨병 유무와 관련없이 60세 이상의 성인에게 권장되는 백신. 당뇨병환자에서는 더욱 권장된다.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대한당뇨병학회 권고안(2015년)
|
참고자료
- 대한당뇨병학회. 제2형 당뇨병 진료지침 6판. 2019
- 대한당뇨병학회. 2015 제2형 당뇨병 진료지침.
- 대한의학회/질병관리본부. 일차 의료용 당뇨병 권고활용 매뉴얼. 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