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 (고혈당성, 고삼투압 상태)
- 비케톤성 고삼투압성 상태
- HHS는 주로 type2 DM, old age에서 infection (m/c), pneumonia, MI, stroke 등에 의해 유발되어 발생한다. 며칠에 걸친 수분 섭취 부족 & 상대적 인슐린 부족에 의한 osmotic diuresis로 인한 탈수가 핵심이다. 예전엔 nonketotic hyperosmolar coma (NKHC)라 부르기도 했다.
병태 생리
- 인슐린의 상대적 부족과 부적절한 수분 섭취는 고혈당성, 고삼투압 상태의 선행 원인이 된다.
- 선행 원인: 반드시 원인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 고령의 제2형 당뇨병 환자
- 심한 병적 상태(쇼크, 심근경색, 치매)
- 심각한 감염(패혈증, 폐렴)
- 수분의 섭취에 제한을 받는 환경적 요건
진단적 접근
임상양상
- 수 주간의 다뇨, 체중감소, 경구섭취 감소 → 탈수 & hyperosmolarity → 저혈압, 빈맥, 의식상태 변화, 기면, 혼수
- DKA와 차이점 : 위장관 증상(N/V, 복통)(-), Kussmaul resp. (-)
검사소견
- Ketoacidosis가 없음! (mild lactic acidosis가 발생할 수도)
→ ketone body (+/-), pH>7.3, bicarbonate>15mEq/L, AG 정상
- 현저한 고혈당: 600~1200mg/dl
- 심한 고삼투압(Severe hyperosmolarity) : 330~380mOsm/L
- 심한 탈수 : prerenal azotemia (BUN/Cr↑)
DKA & HHS의 비교
- 주목할 것은 매우 심한 고혈당증[혈장 포도당:>55.5 mmol/L (1,000 mg/dL)], 고삼투압(hyperosmolality:>350 mosmol/L), 그리고 신전질소혈증(prerenal azotemia)이다.
- 당뇨병성 케톤산혈증과는 달리 산증과 케톤혈증은 없거나 미약하다.
- 수분 소실과 탈수의 정도가 당뇨병성 케톤산 혈증보다 훨씬 두드러진다.
| DKA | HHS |
Glucose, mmol/L (mg/dL) | 13.9~33.3 (250~600) | 33.3~66.6 (600~1200) |
Sodium, mEq/L | 125~135 | 135~145 |
Creatinine | Slightly ↑ | Moderately ↑ |
Osmolality (mOsm/mL) | 300~320 | 330~380 |
Plasma ketones | ++++ | +/- |
Serum bicarbonate, meq/L | <15 meq/L | Normal to slightly ↓ |
Arterial pH | 6.8~7.3 | >7.3 |
Arterial PCO2, mmHg | 20~30 | Normal |
Anion gap [Na-(Cl + HCO3)] | ↑ | Normal to slightly ↑ |
치료
- DKA 치료와 수액 공급 부분만 조금 다르고 거의 동일①
① 체내 수분의 결핍과 고혈당증은 당뇨병성 케톤산혈증(DKA)과 동일하게 나타나므로 치료도 여러가지로 비슷한 점이 있다. 이 두 질환의 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환자의 fluid status, laboratory values, insulin infusion rate이다.
수액 공급 (m/i) |
|
포타슘 보충 |
|
인슐린 투여 |
|
① 지나치게 빠른 회복은 신경기능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혈청 나트륨이>150 mmol/L (150 mEq/L)일 때, 0.45%의 생리식염수를 사용한다.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97장
- 대한당뇨병학회. 2015 제 2 형 당뇨병 진료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