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의
골다공증의 병인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유전적 요인/생활습관
질병
약물
발병기전
골의 형성과 재형성
골재형성에 관여하는 인자
골다공증의 분류
1. 일차성 골다공증 또는 원발성 골다공증
2. 이차성 골다공증
이차성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
이차성 골다공증의 탐색
정의
세계보건기구(WHO) |
|
미국국립보건원(NIH) |
|
골다공증의 병인
골다공증의 병인 모식도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 골다공증 발생의 중요한 두 가지 위험요인
- 성장기 동안 충분한 골량 형성의 실패로 인한 낮은 최대 골량
- 폐경 등으로 인한 빠른 골소실
유전적 요인/생활습관
유전적 요인 | 생활습관 및 영양 |
|
|
질병
성선기능저하(hypogonadal state) | 내분비 질환 |
|
|
위장관 질환 | 혈액 질환 |
|
|
류마티스/자가면역질환 | 신경계 질환 |
|
|
기타 질환 | |
|
|
약물
- Aluminum (in antacids)
- Proton pump inhibitors
- Depo-medroxyprogesterone(premenopausal contraception)
- Anticonvulsants
- Tamoxifen (premenopausal use)
- Thiazolidinediones
- Cancer chemotherapeutic drugs
- Parenteral nutrition
- Cyclosporine A/tacrolimus
- Anticoagulants (heparin)
-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 Glucocorticoids (≥ 5 mg/d prednisone or equivalent for ≥ 3 months)
- Aromatase inhibitors
- GnRH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s and agonists
- Barbiturates
- Lithium
- Thyroid hormones (in excess)
- Methotrexate
발병기전
골의 형성과 재형성
- 최대 골량(peak bone mass): 20대 중반 또는 30대 초반. 이후 연령 증가에 따라 골소실
골재형성(bone remodeling)
- 골흡수와 골형성이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골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현상
- 골재형성의 단계
- 1단계: 2-4주간에 걸친 골흡수기. Osteoclast가 낡은 뼈를 분해
- 2단계: 3-4일간의 역전기. Osteoblast가 골기질을 만들어냄
- 3단계: 4-6개월에 걸친 골형성기. 골기질의 무기질화
- 4단계: 휴식기. Osteocyte가 완성된 골조직 내 존재
골재형성의 단계
골재형성에 관여하는 인자
- 여러 가지 cytokine: IL-1, IL-6, IL-11, Colony-stumulating factor
- caciotrophic hormone: PTH, 1,25-dihydroxy vitamin D, calcitonin, estrogen
- Cathepsin K: 파골세포 특이적으로 생성/분비. 골단백 용해효소(cf. 활성화된 파골세포는 골표면에 밀착 접촉하여 강력한 골용해물을 분비한다.)
- TNF/TNF-receptor superfamily
- RANK(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 RANKL(RANK ligand): 조골세포에서 분비 → 파골세포에 위치한 RANK와 결합. 파골세포의 형성과 활성을 촉진
- OPG(osteoprotegerin): 조골세포에서 분비. RANKL에 대한 생체 내 길항제
폐경 후 골다공증의 발병 기전 | 노인성 골다공증의 발병 기전 |
![]()
| ![]() |
골다공증의 분류
- 골다공증은 일차성과 이차성 골다공증으로 분류됨
1. 일차성 골다공증 또는 원발성 골다공증
- 폐경으로 인한 제1형 골다공증과 노화로 인한 제2형 골다공증으로 편의상 분류하지만 거의 같은 시기에 병합되어 진행되므로 정확히 분류하기 어렵다.
- 최근 이러한 분류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2. 이차성 골다공증
- 특정 질병이나 수술, 약물복용 등에 의해 최대골량의 형성 장애가 있거나 골소실이 증가되는 경우에 발생
- 이차성 골다공증도 임상적으로 뚜렷한 특징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발병의 정도, 기전, 특성 등 전반적인 연구 및 각 질환 별로 골다공증에 대한 위험인자의 판별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적음
이차성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
- 이차성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많음
이차성 골다공증의 탐색
- 이차성 골다공증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DXA에 의한 골밀도 측정이 필요
- 폐경이 되지 않은 모든 여성 및 남성에서 비외상성 골절이 있거나 Z-값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이차성 골다공증의 가능성을 생각해보고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해야 함
기본 검사 | → | 추가 검사 |
|
|
참고자료
-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Report of a WHO Study Group.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1994;843:1–129.
- WHO. WHO SCIENTIFIC GROUP ON THE ASSESSMENT OF OSTEOPOROSIS AT PRIMARY HEALTH CARE LEVEL. 2004.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Consensus Statement: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2000.
- Khosla S. Pathogenesis of Osteoporosis. Transl Endocrinol Metab 2010;1(1):55–86.
-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의 진단 및 치료 지침. 2015.
-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CLINICIAN’S GUIDE TO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