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원인 및 감별진단
진단적 접근
병력/신체검사
진단적 검사
영상검사
조직검사
가는바늘흡인생검 (세침흡인생검, FNAB)
core needle 생검
3중검사(Triple test)
개요
- 유방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의 약 42%가 종괴 때문
- 유방 덩어리의 발견: 환자 자신 발견(약 80%), 검진을 통해 의사에 의해서 발견(약 20%)
- 양성 질환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유방암을 배제하기 위한 신속한 평가 및 진단은 필수적이다.
- 보통 종괴 크기가 최소 2 cm 정도면 촉진 가능
- 정상적인 여성에게서도 호르몬의 변화로 유방 안에 종괴가 있는 것처럼 촉지 가능: 보통 월경이 시작될 때 커지고 월경이 끝나면 작아진다.
원인 및 감별진단
- 가장 흔한 유방종괴의 원인: 낭종, 섬유선종, 침윤성 유방암
- 폐경 전 여성에서 보다 흔하지만, 덩어리가 암일 가능성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 암과의 관련성 - 40세 이하 여성(10%), 50세 이상(60%)
- 유방암의 위치: 유방 상외측(약 50%), 나머지 부위: 상내측, 하내측, 하외측(각각 10%), 유두나 유륜 부위(약 20%)
진단적 접근
병력/신체검사
- 유방암 위험 요인 평가 → 유방암의 고위험 환자 선별 → 종괴의 진단 혹은 치료 계획 수립
- 유방 진찰은 유방종괴를 가진 모든 여성에게 행해져야 하며 철저한 진찰을 함으로써 영상 검사를 통해 놓칠 수 있는 일부 유방암을 찾아낼 수도 있다.
양성종괴 | ↔
| 악성종괴 |
|
|
- 진찰소견으로 양성과 악성이 확연히 구분되더라도 실제 진단이 틀릴 수 있다. (∵ 양성 종괴처럼 보이는 병변도 악성인 경우가 있으며 숙련된 검사자라도 진찰 소견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
- 영상 검사를 포함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유방 종괴임에도 유방촬영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유방촬영 결과가 정상이라고 해서 암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으며, 생검을 포함한 여러 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하여야 한다.
진단적 검사
※ 검사 적응증
- 진찰 시 딱딱하고 잘 움직이지 않으며 주변 조직에 고정되어 경계가 잘 지어지지 않는 종괴
- 폐경 전 여성에서 월경 주기와 관계없이 지속되는 종괴
- 폐경 후 여성에서 만져지는 종괴
- 유방암 고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영상검사
유방촬영 |
|
유방초음파 |
|
유방 MRI |
|
조직검사
- FNAB, core needle 생검, 절제 생검 등
가는바늘흡인생검 (세침흡인생검, FNAB)
- 폐경 전 여성에서 월경주기와 관계없이 지속되는 종괴이거나, 폐경 후 여성에서 뚜렷하게 만져지는 경우 시행
- FNAB 결과, 비혈성의 맑은 액이 나오면 낭종으로 진단하며, 흡인과정을 통해 진단 겸 치료가 가능하다. (약 80% 정도에서 한번 흡인으로 재발 없이 치료가능)
- 흡인 후에는 다시 촉진하여 종괴가 없어졌는지 확인하여 만약 있다면 다시 한번 흡인
- 흡인한 액체가 혈성일 때는 드물지만, 낭종 내 암종(intracystic carcinoma)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세포학적 검사 시행, 초음파로 낭종 내에 고형성분이 존재하는지 확인
- 흡인 후 낭종이 완전히 소실되었는지 확인하고, 약 4-6주 후에 다시 진찰하여 재발하거나, 고형성분이 있다면 절제
core needle 생검
- 의심스러운 유방종괴 확인을 위한 조직 채취의 우선적인 방법
3중검사(Triple test)
- 3중검사: 유방 신체 검사, 영상 검사(유방촬영 혹은 유방 초음파), 조직검사
- 고형의 혹(고형종괴)이 만져지는 경우에는 3중검사가 표준검사 → 악성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무분별한 절제 생검을 피하기 위함
- 3가지 검사 결과가 일치하면 진단 정확도는 100%
- 3가지 결과가 일치하지 않거나, 진단 불가능 결과가 나온 경우 → 절제 생검 시행
- triple test score (TTS): 3가지 검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때 판단에 도움을 주고자 고안된 점수체계
유방 신체 검사 | 영상 검사(유방촬영 혹은 유방 초음파) | 조직검사 |
▼ | ▼ | ▼ |
각각의 검사별 양성 1점, 의심스러운 경우 2점, 악성 3점 → 점수 합산(최소 3점~ 최대 9점) | ||
▼ | ▼ | ▼ |
3-4점 양성, 4~6주 후 추적 관찰 | 5점 중간 위험도(intermediate risk), 절제 생검(excisional biopsy) | 6점 이상 악성, 외과적 제거(유방 전문의 의뢰) |
유방종괴를 진단할 때 환자의 연령과 폐경 상태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먼저 이 종괴가 낭종인지 고형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
40세 이하의 종괴
|
40세 이상의 종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임상적으로 악성유방질환의 빈도가 높아지는데, 40세 이상의 여성에서 비낭종성 종괴(noncystic mass)는 임상적인 소견과 관계없이 악성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고, 유방 내 종괴가 확실하게 있는데 유방촬영술상 정상소견을 보인다고 유방암이 없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보고에 따르면 약 9-22%에서 촉지성 종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방촬영술상 병변이 보이지 않은 예가 있다. 유방영상을 촬영한 후 40세 이상의 여성의 분명한 유방종괴는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한다. |
참고자료
- Salzman B, Fleegle S, Tully AS. Common breast problems. Am Fam Physician 2012;86(4):343–9.
- Yu JH, Hwang IT. The proper approaches for breast disease. Korean J Obstet Gynecol 2011;54(2):67-78
- Morris KT, et al. A new score for the evaluation of palpable breast masses in women under age 40. Am J Surg 2002;184:346-7.
- Klein S. Evaluation of palpable breast masses. Am Fam Physician 2005;71(9):1731–8.
- Harvey JA, Mahoney MC, Newell MS, et al. ACR appropriateness criteria palpable breast masses. J Am Coll Radiol 2013;10(10):742-749-3.
- Lehman CD, Lee AY, Lee CI. Imaging management of palpable breast abnormalities. AJR Am J Roentgenol 2014;203(5):114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