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 진료실을 찾는 3번째로 흔한 유방 증상(유방종괴>유방통>유두분비)
- Galactorrhea: 우유 같은 분비물이 임신이나 수유기간이 아닐 때, 또는 출산 6개월 이후에 나타나는 경우
원인 및 감별진단
- 유두분비는 생리적으로 정상적이거나 병적일 수 있으며, 이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병적인 유두 분비물의 가장 흔한 원인: 관 내 유두종(intra-ductal papilloma) > 유선관 확장(duct ectasia) > 유방암 > 감염
진단적 접근
병력청취/신체검사
- 유두 분비물의 특성과 발현 유관에 대한 평가
- 자발적인가(spontaneuous)(속옷에 묻음)? 인위적인가(squeezing)?
- 단일 유관에서 나오는가? 다수의 유관에서 나오는가?
- 한쪽 유두에 나오는가? 양측 유두에서 나오는가?
- 유두분비물의 색깔과 양
- 지속적인지 또는 일시적인지
- 유방종괴 같은 다른 유방 증상과 동반 여부
- 최근 또는 현재 복용 중인 약제
- 유방 또는 흉벽에 외상
- 내분비 질환의 병력

- 복용 약물: 도파민 분비를 억제하여 생리적으로 유두분비물을 발생하게 하는 약물
유두분비를 유발할 수 있는 약물
항고혈압제 | Methyldopa, reserpine, verapamil |
위장관약물 | Cimetidine, metoclopramide |
호르몬제 | Estrogen, oral contraceptives |
Opiates | Codeine, heroin, methadone, morphine |
정신계통 약물 | Antipsychotics,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neuroleptics,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tricyclic antidepressants |
- 신체검사: 유즙이 분비되는 유선관(duct)의 수, 편측 혹은 양측, 분비물의 색, 종괴동반여부
- 보통 양측 유방의 우유같은 분비물은 임신과 수유기간 중, 수유 중단 후나 출산 후 1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
생리적 유두분비 | vs. | 병적 유두분비 |
|
|
진단적 검사
- 임신검사(hCG): 가임기 여성에서 유두분비가 있는 경우 → 임신 유무 판별
- 호르몬 검사: prolactin, TSH 등 → 내분비계 이상 유무 확인
- 유(선)관촬영술(ductography)
- 유선관 내 이상이 있을 경우 음영결핍 발생, 유선관 내시경을 통해 직접 병적인 부분 확인가능
- 최근 시행되지 않고 있다.
- 조직검사
- 수술적 조직검사의 적응증
- 진찰과 영상검사(유방촬영술 또는 유방초음파) 시행하여 종괴 또는 암이 의심되는 병소가 있는 경우
- 진찰과 영상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라도 유두 분비물이 자발적이며 유두의 단일 유관에서 나오고 병적 유두분비물의 다른 양상을 동반한 경우
- 혈성 또는 장액혈성 또는 잠혈검사 양성일 때
- 1주에 최소 2회 이상으로 지속적일 때
- 종괴와 동반되었을 때
- 50세 이상 여성에서 발생하였을 때(진하고 치즈 같은 분비물은 제외)
- 남성에서 유두분비일 때
- 수술적 조직검사의 적응증
유두 분비의 진단적 접근
|
치료
- 생리적 분비: 유두 자극 및 유방 압박↓ → 유두분비↓
- 병적 분비: 유방외과 전문의에게 의뢰하여 유선관 절제술 시행
참고자료
- Amin AL, Purdy AC, Mattingly JD, Kong AL, Termuhlen PM. Benign breast disease. Surg Clin N Am 2013;93:299-308.
- Yu JH, Hwang IT. The proper approaches for breast disease. Korean J Obstet Gynecol 2011;54(2):67-78
- Miltenburg DM, Speights VO Jr. Benign breast disease. Obstet Gynecol Clin N Am 2008;35:285-300.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 7판(2017). P1182-1183
- Salzman B, Fleegle S, Tully AS. Common breast problems. Am Fam Physician 2012;86(4):343–9.
- Rodden AM. Common breast concerns. Prim Care. 2009;36(1):103-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