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형 유방증이란?
- 남성에서 유선조직이 증식되어 만져지거나 육안으로 유방이 커져 있는 경우
- 병인: 일반적으로 에스트로겐의 유방 자극작용과 안드로겐의 억제작용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
원인 및 감별진단
- 대부분 원인을 정확히 찾을 수 없다.
- 약물
여성형유방증과 관련된 약물
호르몬 | Androgens, anabolic steroids, estrogens, estrogen agonists, hCG |
항안드로겐/안드로겐 합성억제 | Bicalutamide, flutamide, nilutamide,cyproterone, GRH agonists (leuprolide, goserelin) |
항생제 | Metronidazole, ketoconazole, minocycline, isoniazid |
항궤양제 | Cimetidine, ranitidine, omeprazole |
항암제 | Methotrexate, alkylating agents, vinca alkaloids |
심혈관약물 | Digoxin, ACEIs (e.g. captopril and enalapril), calcium channel blockers (diltiazem, nifedipine, verapamil), amiodarone, methyldopa, spironolactone, reserpine, Minoxidil |
정신작용약물 | Anxiolytic agents (e.g. diazepam), tricyclic antidepressants, phenothiazines, haloperidol, atypical antipsychotic agents |
기타 | Antiretroviral therapy for HIV, metoclopramide, penicillamine, phenytoin, sulindac, theophylline |
- 병적인 원인: 간경변, 영양실조, 일차생식선저하증, 고환종양, 이차생식선저하증, 갑상샘 기능항진증, 신장 질병 등
임상양상
신생아 여성형유방증 |
|
사춘기 여성형유방증 |
|
노인성 여성형유방증 |
|
여성형유방증 | ↔ | 유방암 |
|
|
치료
- 원인 약물사용 중단, 원인질환 치료
- 약물 사용을 중단시키고 한 달 후에 다시 검사해야 한다. 그러나 반드시 복용해야 할 약물이라면 여성 형유방증을 적게 일으키는 다른 약물로 교환해서 복용하게 하는 등 환자와 충분한 의견교환이필요하다.
- 유아기, 사춘기, 노년기에 생기는 생리적 여성형유방증은 대부분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자연 소실되는 경향을 보임 → 환자에게 설명하고 기다려보는 것으로 충분, 6개월 간격으로 재검사 시행(일시적인지, 지속적인지 확인)
- 내과적 치료: 클로미펜clomiphene, 타목시펜, 아로마타제 억제제
- 피하유방절제술: 저절로 퇴행하지 않거나 내과적 치료에 실패하거나 미용적 문제가 있는 경우
참고자료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 1판(2011). P889-890
- Johnson RE, Murad MH. Gynecomastia: pathophysiology, evaluation, and management. Mayo Clin Proc 2009;84(11):1010–5.
- Braunstein GD. Gynecomastia. N Engl J Med. 2007;357(12):1229-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