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질환의 진단적 접근: 유방통증(breast pain, mastalgia)


목차

개요

  • 여성의 60-70%에서 인생에 한번은 겪는 매우 흔한 증상
  • 아직 정확한 원인과 적절한 치료방법은 정립되지 않은 상태

 



원인 및 감별진단

유방의 통증은 생리주기와 연관하여 주기적인 유방통과 비주기적인 유방통으로 구분한다.

  1. 주기적 유방통(cyclic breast pain)
  2. 비주기적 유방통(non cyclic breast pain)

 

주기적 유방통(cyclic breast pain)

  • 폐경 전 여성에서 월경 주기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고 중등도 또는 심한 유방 통증이 7일 이상 지속되는 유방통증
  • 보통 월경주기 중 황체기(luteal phase)에 시작되어 월경 직전까지 통증이 점차 증가 -> 월경이 시작되면 통증 소실 → 월경이 끝난 뒤에도 경미한 통증이 한 달 동안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Cf. 월경 전 유방통증(premenstrual breast pain): 정상 생리적 반응. 월경 개시 2-3일 전에 발생하고, 경미한 또는 중등도의 통증 강도를 호소하고, 대부분 양측 유방에 통증 이 발생하며, 유방부종과 압통이 동반되어 나타난다.

 

비주기적 유방통(non cyclic breast pain)

  • 월경 주기와 무관하게 발생하는 통증
  • 간헐적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통증 발생
  • 통증의 범위는 대부분 한 측 유방의 특정 부위에 국한
  •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지만 소수에서는 유방 질환 또는 유방외 질환에 의한 방사통으로 발생
    1. 유방질환: 유관확장증 유관 주위유방염, 경화성선종, 염증성 유방 질환 등
    2. 유방 외 질환: 흉벽이나 흉곽의 통증, Tietze 증후군, Mondor’s disease, 심장 질환, 폐 질환, 경추 추간판탈출증, 대상 포진, 담낭질환 등

 

주기적 유방통과 비주기적 유방통의 임상적 특성

 

주기적 유방통

비주기적 유방통

통증비율

  • 전체 유방통의 2/3

 

호발연령

  • 가임기 여성(20-40대)
  • 40대, 폐경기 여성

월경과의 연관성

  • 관련성(+)
  • 월경 직전까지 악화되다가 월경이 시작되면 호전
  • 관련성(-) 
  • 월경이 시작되어도 증상의 소실이 없이 지속

통증의 양상

  • 둔한 통증, 무거운 느낌
  • 죄는 듯함, 작열감, 쓰림

통증의 위치나 범위

  • 양측성, 상외측에 호발, 팔의 상부 안쪽으로 방사통
  • 편측성, 국소 부위(e.g. 유방의 안쪽 부분이나 유두아래)

통증의 지속기간

  • 흔히 폐경까지 지속
  • 짧은 자연사(natural history): 대부분 6개월 내 자연 소실

유방부종이나 덩어리동반

  • 흔하며, 월경과 관련성을 보인다. 
  • 월경을 전후한 크기와 압통 변화
  • 월경과 무관하게 일정하거나 간헐적으로 나타남

치료

  • 약 85%에서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다. 
  • 약물치료
  • 비약물치료
  • 약물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음
  • 병리적 연관성이 주기적인 통증의 경우보다 높은 편

 

치료에 앞서 유방암과 감별하고 이러한 통증이 유방암 때문은 아님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단적 접근

  • 세심한 병력청취, 유방 진찰을 통해 유방통이 주기적 유방통인지 비주기적 유방통인지 분류
  • 유방진찰에서 필요하다면 영상검사 시행
  • 아울러 의심되는 병소에 대한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

 

30세 이상의 환자가 최근 1년간 유방촬영술 없이 새로운 유방통을 호소하면 영상 검사 시행합니다. 유방암의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더라도 1-2개월 후 추적관찰을 시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병력 청취

  1. 유방통에 관련된 병력 청취 
  2. 과거 또는 현재 동반 질환(심허혈증, 담석증, 경부 추간판 탈출증, 어깨관절 활액낭염) 
  3. 최근 복용한 또는 현재 복용하고 있는 모든 약제 
  4. 육체적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 
  5. 유방 암의 개인적 위험인자에 관련된 병력 
    1. 통증의 양상:  월경주기와 관련성, 통증 기간, 통증의 위치(편측성 또는 양측성, 유방 전체 또는 국소, 유방 외 흉벽)
    2. 통증의 심한 정도
    3. 유방 관련 동반 증상(종괴 또는 결절, 유두 분비물 등)

 

유방진찰

통증 부위를 중심으로 평가

  1. 결절 또는 종괴가 만져지는가?
  2. 유방조직의 압통인지 또는 유방이 아닌 늑골 또는 연골에서 기인한 것인가?

 

영상검사

  • 유방통이 유방의 특정 부위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 검사 시행
  • 유방통이 유방 전체인 경우는 주기적 유방통 또는 비주기성 유방통으로 분류
    1. 주기성 유방통이며 특별한 비정상 소견이 없는 경우 → 더 이상의 추가적 영상검사는 불필
    2. 비주기적 유방통인 경우 → 진찰상 정상일지라도 30세 이상의 여성은 영상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조직검사

  • 영상 검사에서 의심스러운 병소는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한다. 

 

주기성 유방통 또는 영상검사에서 정상인 경우는 심리적 안심과 자가 통 증 기록지를 작성하도록 교육시키고 재방문하게 합니다.

 

※ 유방암과 유방통

  1. 유방암환자가 유방통만을 주요 증상으로 호소하는 경우는 약 5% 이하
  2. 유방암과 관련된 유방통: 대부분 일측 유방에 국한, 지속적이며 심한 통증
  3. 유방통을 보이는 환자는 주로 폐경 전 여성이고 폐경 후의 유방통은 악성질환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증가 

 

 


치료

비약물요법

  1. 유방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견고한 브래지어 착용
  2. 온열요법
  3. 식이요법
    1. 커피, 초콜릿, 차 등 카페인을 줄이는 식이요법
    2. 저지방 식이

 

약물요법

  1. 진통제
  2. tamoxifen: 식이요법이나 진통제에 효과가 없는 경우
    1. 하루 10 mg을 투여하여 약 80% 이상에서 효과(+)
    2. 그러나 가급적 사용하지 말 것(→ 유방암 치료 시에만 사용하는 것을 권한다.)

 

참고자료

  • Yu J, Hwang I. The proper approaches for breast diseas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1;54(2):67–78.
  • Amin AL, Purdy AC, Mattingly JD, Kong AL, Termuhlen PM. Benign breast disease. Surg Clin North Am 2013;93(2):299–308.
  • Meisner ALW, Fekrazad MH, Royce ME. Breast disease: benign and malignant. Med Clin North Am 2008;92(5):1115–41, x.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