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 양성질환(Benign breast disease): 개요
유방 양성질환의 분류
- 유방암을 제외한 포괄적인 유방의 상태: 정상상태 + 유방 양성질환
- 정상적인 여성의 유방발달과 퇴행 과정의 변형 이상은 다양한 정상 유방 증상과 유방 양성 질환을 초래하게 된다.
- 생애 주기에 따른 유방 변화: 사춘기 유방발달, 임신기, 수유기, 수유기 후 퇴행, 폐경
- 월경 주기에 따른 유방변화
주요 분류체계
Love 등 | 임상 증상, 진찰 소견을 토대로 분류 | - 생리적 부종과 압통
- 소결절형성
- 유방통
- 종괴
- 유두분비물
- 유방 감염
|
Page 등 | 유방조직의 조직학적 소견을 토대로 분류 | - 비증식성 병소(nonprolifeative lesions)
- 비정형세포가 없는 증식성 병소(proliferative lesions without atypia)
- 비정형증식증 병소(atypical proliferative lesion)
|
Hughes 등 | 유방 양성 질환이나 질병의 병인(pathogenesis)을 토대로 분류 | - 정상 유방의 발달과 퇴행의 변형 분류체계 Aberrations of Normal Development and Involution (ANDI)
- 모든 유방 양성 상태를 정상과 경한 비정상과 심한 비정상으로 구분
|
유방 양성질환의 ANDI분류
- 병의 원인, 조직학적 소견, 임상적 소견 포괄
발달 과정 | 초기가임기 | - 섬유샘종: 15세부터 25세까지의 젊은 여성에서 호발
- 유두함몰: 주 유선관의 발달 변형에 의한 질환
|
후기 가임기 | - 월경주기에 따른 생리적 현상: 주기적 유방통(mastalgia), 소결절형성
- 질환으로 간주되는 경우
- 주기적으로 심한 유방통
- 심한 통증성 소결절형성
3) 통증성 소결절이 1주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
퇴행 과정 | - 낭종(cyst): 미세낭종(microcyst), 큰낭종(macrocyst)
- 경화성선증(sclerosing adenosis): 유방 주기의 증식과 퇴행과정 둘 다에 관련된 질환
- 유관확장증(Duct ectasia)
- 유관주위유방염(periductal mastitis): 유관주위 섬유화를 초래하고 최종적으로 유두함몰, 유륜하 농양으로 진행 가능
|
- 유방 양성 질환의 병리학적 분류: Dupont 등의 병리학적 기준에 따른 유방 양성 병소의 분류
비증식성(nonproliferative) | 비정형이 없는 증식성 병소(proliferativa leisons without atypia) | 비정형 증식증 |
- 낭종(cysts)
- 유두상 아포크린 변화(papillary apocrine change)
- 상피 관련 석회화(epithelial-related calcification)
- 보통형 경도 증식증(mild hyperplasia of usual type)
| - 보통형 중증도 또는 개화성 관상피증식증
- 유관 내 유두종
- 경화성 선종증
- 섬유선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