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 낭종(breast cyst, cystic disease)
- breast cyst는 가장 흔한 유방 양성질환
- 30-50대 여성의 1/3 정도에서 발생
- 월경 주기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hormonal function이 작동하는 menopause까지 발생이 증가하다가 menopause 이후 발생률이 급격히 감소
- 3 mm보다 큰 cysts은 초음파에서 관찰 가능하고 breast exam에서 잘 하면 촉진 가능
분류
크게 3가지로 분류
단순낭종(simple cyst)와 복합낭종(complex cyst)로 분류
- 단순낭종(simple cyst)
- 합병낭종(complicated cyst)
- 복합낭종(complex cyst)=complicated cyst, atypical cyst
- 낭성 병변중 내부에 고형 성분이 있는 복합낭종
- simple cyst보다 악성 가능성 높음. complex cyst의 양상에 따라 악성 가능성은 다양
simple cyst | Complicated cyst | complex cyst |
|
|
|
BI-RADS 2 ![]() | BI-RADS 3 ![]() | BI-RADS 4 ![]() |
논문에 따라 complicated cyst를 complex cyst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치료
- aspiration(진단 겸 치료)± cytology
- aspiration fluid의 성상이 bloody or has floating debris인 경우 cytology 시행
- negative cytology: asymptomatic하다면 6개월 후 영상검사 follow-up
- biopsy: core needle biopsy or surgical biopsy core needle biopsy: 악성 가능성이 높은 경우 → 악성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biopsy 시행(solid lesion처럼 접근)
- (asymmetric) thickened walls
- thick internal septations
- mixture of cystic and solid components
섬유낭성변화(Fibrocystic change)
- 매우 흔한 유방의 변화: 여성의 부검시 80%, 정상 유방의 50%, 조직검사의 90%에서 발견
이전에는 fibrocystic disease로 불렸으나 매우 다양한 조직병리적 소견을 포함하므로 특정 질병으로 명하기보다 형태학적 변화의 한 양상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현재는 섬유냥성변화 (fibrocystic change or fibrocystic condition)로 불리고 있습니다.
임상양상
- 경계가 명확하거나 불분명한 생리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촉지되는 종괴
- 유방통증/압통(40-60%), 액와부 통증/림프절 비대, 장액성 또는 혈성 유즙분비
- 대부분 30대 중반에서 40대에 발생(40대에 그정도가 가장 심하고 갱년기 이후 퇴화)
10-20대에 유방실질의 밀도증가와 압통이 시작되고 병변이 진행되어 30대에는 결절병변을 형성하고 40대경에는 보다 큰 덩어리와 낭종을 형성하는데 이에 따라 통증이 심해집니다.
분류
Fibrocystic changes는 병리소견에 따라 비증식변화(nonproliferative change), 증식병변(proliferative change)으로 분류 가능
- Nonproliferative changes: cysts, apocrine metaplasia, fibrosis, intraductal hyperplasia, fibroadenomas=> 유방암 발생위험이 증가되지 않음
- Proliferative change: 유방암 발생위험 증가(1.5-2배)
- without atypia: florid hyperplasia, sclerosing adenosis, intraductal papillomatosis
- with atypia: atypical ductal or lobular hyperplasia
섬유샘종(fibroadenoma)
- 종말유선관소엽 단위의 상피세포와 기질에서 발생
- 발생 원인: 정상 유방 발달 과정에서 증식과정의 변형으로 생각된다.
- 유방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
- 10-20대 여성에서 주로 발생
- 정상 유방조직과 유사한 호르몬 변화에 대한 반응(estrogen receptor(+), progesterone receptor(+)) → 임신기간 또는 월경 직전에 커지는 경향이 있고 폐경이 되면 퇴행
분류
- 일반적 섬유샘종
- 사춘기 섬유샘종(juvenile fibroadenoma)
- 사춘기와 젊은 여성에서 발생하여 크기가 빠르게 커지고 종괴 위 피부의 정맥확장 소견
- 조직학적으로 일반 섬유샘종보다 심한 상피세포 증식 증과 더 많은 기질세포질을 가지고 있지만 임상적으로 양성 질환의 형태를 취한다.
- 악성 가능성(-)
- 거대 섬유샘종(giant fibroadenoma)
- 섬유샘종의 크기가 5cm 이상인 경우
- 조직학적 소견은 일반적인 섬유샘종과 동일
- 복합성 섬유샘종(complex fibroadenoma)
- 섬유샘종의 조직학적 소견에서 크기가 3mm 이상의 낭종, 경화성샘종증, 상피세포 석회화 또는 유두상 아포크린 변화가 동반되어 있을 때
- 유방암 발생 상대위험도 3.1 배 증가
임상양상 및 진단
- 진찰에서 대부분 1-2cm 크기의 단발성 종괴로 발견
- 모양: 대부분 타원형 또는 둥근 형태, 다결절 형태
- 주변의 유방조직과의 분명한 경계, 단단하거나 고무 같이 만져지는 양상, 손가락으로 누르면 쉽게 미끄러지는 움직임
대부분의 섬유샘종은 직경이 2-3cm 정도 자라면 성장을 멈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5cm 이상의 섬유샘종이 발견된다면 거대섬유샘종(giant fibroadenoma), 연소형 섬유샘종(juvenile fibroadenoma), 엽상육종(phyllodes neoplasm)을 생각해야 한다.
- 섬유샘종은 대부분 단발성이지만 10-15%에서 다발성으로 발생하고, 한쪽 유방에 5개 이상 다발성 섬유샘종은 흔하지 않다.
치료
- 양성종양의 일반적인 치료원칙에 준함
-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섬유선종이 진단된 경우 → 섬유샘종의 수술적 절제없이 경과 관찰 가능
- 수술적 절제의 적응증
- 크기가 큰 경우(2-2.5cm 이상)
-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
- 추적관찰에서 크기가 커지는 경우
- 삼중검사(triple test)검사에서 결과 불일치
- 유방암의 직계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최소침습절제술: 레이저광응고술(laser photocoagulation), 진공흡입 보조장비를 이용한 절제술, 냉동절제술cryoablation 등
유관내유두종(intraductal papilloma)
분류
- 단발성(중심성) 유두종과 다발성(말초성) 유두종으로 구분한다.
| 단발성(중심성) 관내유두종(solitary intraductal papilloma) | 다발성 말초유두종(multiple peripheral papilloma) |
개요 |
|
|
발생연령 |
|
|
임상양상 |
|
|
악성 가능성 |
|
|
유관내유두종은 병리 조직학적으로 양성 유두종으로부터 비정형상피세포 증식증/관상피세포 제자리암, 침습성 유두상 암까지 다양합니다.
- 유두종 자체가 유방암 발생 위험도의 증가와 연관성은 없으나, 유두종내 비정형증식증의 동반 유무와 분포 정도에 따라 유방암 발생 위험도 증가
- 비정형 증식증이 있는 유두종: 4-5배 증가
- 비정형 증식증이 있는 다발성 유두종: 7 배 증가
치료
- 치료원칙: 중심침생검 결과
- 비정 형증식증 있는 유두종: 유두종내 제자리암 또는 침습성 유방암의 동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수술적 절제생검 시행
- 양성 유두종: 단순 추적관찰 또는 절제(excision)(prefered)
결과적으로 중심침생검으로 유두종이 진단된 경우 모든 유두종 병소의 수술적 절제를 권고합니다.
- 치료 방법: 수술적 종괴 절제술, 진공흡입보조 장치를 이용한 생검 또는 절제법
지방괴사(Fat necrosis)
- 임상적 또는 영상학적으로 유방암과 구별하기 어려운 소견: Mammography 상 spiculated margin을 보이며 calcification 동반
- 원인
- 주로 외상과 관련: (발생초기) 피하 출혈, 단단해진 지방 조직 -> 둥글고 단단한 종괴 형성(palpable mass) → (진행) 지방이 용해에 따른 공동(cavity) 형성
- 유방 수술 후, 유방 보존술에 따른 방사선요법 후, 재건을 위한 복직근피판이식술, 성형을 위한 자가지방 주사 후
- 영상 검사로 대부분 진단 가능 / 감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core-needle biopsy 시행
- 특별한 치료는 불필요
경화성 선증 (sclerosing adenosis)
- adenosis: 종말관 소엽단위(terminal duct lobular unit)가 수적으로 증가하고 소엽도 팽창하는 조직변화
- sclerosing adenosis: adenosis에서 경화를 동반한 경우. 종종 stromal tissue proliferation에 의해 경화되는 양상을 보임
- malignant potential이 그리 높지 않음
- 육안적으로 혹은 조직학적으로 암과 혼동될 수 있음 → 초음파나 영상검사로 유방암처럼 보이게 됨
- calcium deposition과 연관되어 유방촬영술에 intraductal carcinoma의 microcalcifications과 감별이 어려울 수 있음 → 미세석회화(microcalcification) 소견으로 인해 시행한 core needle biopsy에서 가장 흔히 얻어지는 pathologic diagnosis
- 특히, 영상에서 종괴를 형성하거나 미세석회화를 동반하는 등 악성질환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나 core needle biopsy에서 세포 비정형성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완전 절제 필요
방사형 반흔(radial scar)
- complex sclerosing lesions 중 하나
- 유방촬영에서 유방암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음
- irregular spiculations in the surrounding stroma
- 임상적으로 1cm보다 큰 병변은 드묾 → 보다 큰 변병은 palpable tumors를 형성하여 유방촬영에서 prominent architectural distortion를 동반한 spiculated masses로 관찰 가능
- 중증도의 malignant potential → underlying carcinoma를 배제하기 위해 excision 필요
엽상육종(phyllodes tumor)
- 중배엽성 기질에서 발생한 종양
- 분류: 양성 엽상육종, 경계성 엽상육종, 악성 엽상육종
- 45세-49세에 발생
- 임상적으로 섬유선종과 구별은 어렵다.
- 진단
- 중심침생검: 엽상육종과 섬유선종의 감별이 어렵다. 엽상육종으로 진단되었을 때 양성, 경계성, 악성 엽상육종의 정확한 구분이 어렵다.
- 절제생검 시행
- 치료: 광역 국소 절제술(1cm 이상의 정상 절제연)
유방 염증성 질환
분류
- 신생아 감염
- 성인 감염: 대부분 18세-50세 사이의 여성에서 발생
- 수유기 감염
- 비수유기 감염
치료
유방 감염의 경우 농양으로 진행을 막기 위해 가능하면 빨리 항생제를 투여하는 게 중요하고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농양 형성 가능성 또는 염증성 유방암(inflammatory breast cancer)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유방 염증성 질환의 분류와 적정 항생제
감염 분류 | 원인균 | No penicillin allergy | Penicillin allergy |
신생아 감염 | 황색 포도상구균 대장균(드물게) | Flucloxacillin, 500mg 4회/1일 | Erythromycin, 500mg 2회/1일 |
수유기 감염 | 황색 포도상구균 표피 포도상구균(드물게) 연쇄상 구균(드물게) | Flucloxacillin, 500mg 4회/1일 | Erythromycin, 500mg 2회/1일 |
비수유기 감염 | 황색 포도상구균 장내구균 혐기성 연쇄상구균 박테로이드 계열 | Co-amoxiclav, 375mg 3회/1일 | Erythromycin, 500mg 2회/1일 + Metronidazole, 200mg 3회/1일 |
신생아 유방염
- 생후 약 1-2주까지 유선아(breast bud)가 지속적으로 커질 수 있질 수 있음(약 60%) > 이 후 퇴행
- 커져 있는 breast bud에 감염 발생 가능
- 원인병원체: 대부분 황색포도알균
- 치료: 항생제 ± 절개 배농술(파동이 생긴 경우)
수유기 감염(lactational infection)
- 첫 번째 분만 여성에서 수유 시작 후 6주 이내에 가장 흔히 발생
- 수유로 인해 유두 균열이나 유두피부에 찰과상 등 발생 -> 염증반응으로 유륜하 유관 부종 발생 -> 모유 배출이 잘 안 되는 상태 → 손상된 조직에 피부 상재균이 증식하여 모유배출이 잘 안 되는 유방 분절에 감염 유발
- 원인 병원체: 황색포도알균(m/c), 표피 포도알균, 사슬알균
- 증상
- 통증, 발적, 부종, 압통, 전신증상(오한, 발열 등)
- 유방 농양으로 진행한 경우: 파동성 종괴
- 치료
- 수유기 감염의 초기에는 항생제와 수유 장려만으로 효과적
= 수유 자체가 유즙과 농액의 배출을 촉진시켜 치료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수유억제제(cabergoline) 사용은 모유가 농축되어 배농이 저하될 수도 있으므로 권장되지는 않습니다.
= 항생제 개시 후 수일 이내에 감염이 호전되지 않으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농양의 발생 또는 염증성 유방암을 감별해야 합니다. - 농양이 발생한 경우: 농양 위의 피부 상태에 따라 절개 배농
- 수유기 감염의 초기에는 항생제와 수유 장려만으로 효과적
농양이 작거나 유방 깊숙한 부위에 경우 | 농양의 크기가 크거나 농양내 격막으로 구획된 경우 | |
▼ | ▼ |
|
피부가 얇지 않거나 괴사되어 있지 않은 경우 | 농양 위 피부가 얇거나 괴사되어 있는 경우 | 전신마취하 수술적 절개배농 시행 |
국소 마취하 주사침을 농양 속에 위치하여 1% 리도카인에 1:200,000 아드레날린 용액으로 농양 공동(cavity)을 흡입액이 깨끗해질까지 반복 세척 → 농양이 소실될 때까지 2-3일마다 반복 세척 흡입 시행 | 완전한 고름 배농 → 매 2-3일마다 반복 세척
|
비수유기 유방염(non-lactational infection) / 농양
유관주위유방염(periductal mastitis)/유륜주위 감염(periareolar infection), 유방 가장자리 감염(peripheral infection)
| 유관주위유방염(periductal mastitis)/유륜주위 감염(periareolar infection) | 유방 가장자리 감염(peripheral infection) |
개요 |
| 폐경 여성보다는 폐경 전 여성에서 3배 이상 많이 발생 |
원인 |
|
|
원인 병원체 |
|
|
임상양상 |
|
|
진단 |
|
|
치료 |
|
|
기타 유방 염증성 질환
- 유방결핵
- 몬도르병(Mondor’sdisease)=흉상복부정맥염(phlebitis of thoracoepigastric vein)
- 육아종성 소엽 유방염(granulomatous lobular mastitis)
참고자료
- Amin AL, Purdy AC, Mattingly JD, Kong AL, Termuhlen PM. Benign breast disease. Surg Clin North Am 2013;93(2):299–308.
- Meisner ALW, Fekrazad MH, Royce ME. Breast disease: benign and malignant. Med Clin North Am 2008;92(5):1115–41, x.
- Kook SH, Jung KJ, Noh IG. Fibrocystic Change in Breast: Mammographic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in Lower Risk Lesions.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1996;34(1):139–44.